삼례 2007. 소녀가 렌즈에 비친 천사를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스베덴보리가 없었다면 메피스토펠레스를 창조할 수 없었을 것이고, 따라서 ‘파우스트’를 완성할 수도 없었다”는 괴테의 말을 무심히 흘려버릴 수 있을까. 철학자 칸트, 그리고 윌리엄 블레이크, 에머슨, 칼라일, 발자크, 엘리자베스 브라우닝 같은 문인도 그의 영향을 받았다. 3중 장애를 극복한 헬렌 켈러는 ‘스베덴보리주의자’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압도적 영향을 받았다.
스베덴보리는 신비주의자인 동시에 뛰어난 과학자이자 철학자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에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막연히 신비주의자로만 기억될 뿐이다. 연구자가 한 명쯤은 나와 주면 좋으련만 한국에는 아직 단 한 명도 없다. 한국 지식 생태계의 다양성 결여와 획일주의를 느낀다면 지나친 반응일까. 하기야 ‘주류’ 인문학도 사멸해 가는 중이니 이런 비주류 인물에 관한 연구를 기대하는 건 무리일 것이다.
학창 시절 서울 종로2가 책방에서 그를 처음 만났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은 지옥은 의지에 반해 강제로 떨어지는 곳이 아니라 스스로 찾아가는 곳이라는 것. 지옥의 영혼은 천국에 머물면 못 견딘다고 한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란 말대로 비슷한 영혼끼리 있을 때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스베덴보리보다 백 년 뒤에 태어난 스웨덴 역사학자 안데르스 프뤽셀(1795~1881)은 자신의 할머니가 어릴 적에 스베덴보리의 이웃에 살았다며, 스베덴보리의 성품을 엿보게 해 주는 에피소드를 하나 들려준다.
그의 할머니는 십대 소녀였을 때 부모님과 함께 스베덴보리의 집 근처에 살고 있어서 그와 친하게 지냈다. 소녀였던 그의 할머니는 신비가 스베덴보리의 명성을 잘 알고 있었다. 소녀는 어린아이다운 호기심에 이끌려 ‘스베덴보리 아저씨’에게 영이나 천사를 보여 달라고 졸라 대곤 했다. 마침내 그가 승낙했다. 그는 소녀를 자기 정원의 여름 별장으로 데리고 가 커튼 앞에 서게 했다. 그리고 “자, 이제 천사를 보게 될 거야”라고 말하면서 커튼을 끌어당겨 열었다. 그러자 소녀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마주하게 됐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1-05-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