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후세의 평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후세의 평가

입력 2021-04-27 16:56
수정 2021-04-28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대전 2021. 후세를 의식하는 엘리트가 많아지면 좋겠다.
대전 2021. 후세를 의식하는 엘리트가 많아지면 좋겠다.
진화설을 발표한 찰스 다윈(1809~1882)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반면 동시대인이자 다윈과 동갑내기인 윌리엄 글래드스턴(1809~1898)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 글래드스턴은 19세기 후반 영국 총리를 네 차례나 지낸 저명 정치인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명망 높은 권력 실세였던 그가 다윈을 방문한 적이 있다. 다윈의 학문적 업적을 치하하기 위해서였다.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다윈은 친숙한 이름이다. 하지만 글래드스턴의 이름은 어쩐지 생소하다. 그 이름을 처음 듣는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당대의 시각에서 보면 다윈은 힘없는 일개 학자, 저술가에 지나지 않았고, 글래드스턴은 영국 정가를 호령하던 거물급 정치인이었다. 방문받은 다윈은 감격을 금치 못한다. “그토록 위대한 인물의 방문을 받았다는 건 얼마나 명예로운 일인가”라고 소감을 남겼다.

그런데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1872~1970)은 이 에피소드를 독특한 시각으로 평가한다. 다윈이 정치 지도자의 방문을 영예롭게 여긴 것은 그의 겸손한 성품을 보여 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에게 ‘역사적 안목’이 없음을 보여 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당대의 시각에서 보면 다윈이 명예롭게 여긴 것이 맞을지 모르나, 역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영광스럽게 여겨야 할 사람은 다윈이 아니라 오히려 글래드스턴이라는 것이다.

러셀이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간단하다. 당대의 평가와 후대의 평가가 같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인물에 대한 당대의 평가가 후대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당대와 후대의 평가가 180도 바뀌는 경우도 허다하다. ‘인물 평가는 관뚜껑에 못을 박은 뒤에라야 가능하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연일 매스컴에 등장해 스포트라이트를 한몸에 모으는 연예인 등이 세상을 뒤흔들고 역사의 흐름을 온통 좌지우지하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 그러나 러셀의 ‘역사적 시야’로 보면 진정한 가치는 다른 데 있을지 모른다. 100년, 500년 뒤에는 반짝이던 이름은 기억에서 사라지고, 당대에는 존재감도 없던 작가나 인정받지 못하던 정치인의 이름만 기억될지 모른다.

정치인이든 학자든 예술가든 후세의 평가와 역사의 심판을 의식해야 한다는 말이다. 물론 후세도, 내세도 두렵지 않은 현세주의자들에게는 이 모든 말이 헛소리로 들릴 것이다.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1-04-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