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2021. 역사적 시간에는 계절처럼 마디가 있다.
본격적으로 시대를 구분하기 시작한 건 르네상스 시기였다. 그 시대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사는 시대가 앞선 시대와 차별된다는 뚜렷한 자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시대가 그리스ㆍ로마의 고전고대와 직결된다고 보았다. 고대의 찬란했던 문명이 로마 멸망과 더불어 소멸하고 그로부터 천년의 세월이 흐른 후, 1500년경 제2의 황금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자신들의 시대와 고대 황금시대 중간에 있는 천년의 세월은 문명이 사멸한 기나긴 암흑의 시대로 간주했다.
이렇게 해서 고대ㆍ중세ㆍ근대로 이어지는 ‘3분법 시대구분’이 등장하게 된다. 고대의 제1 황금기와 부활한 제2 황금기 중간에 암흑시대가 펼쳐졌다는 독특한 역사 이해 방식이다. 르네상스란 말 자체가 ‘부활’이란 뜻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중세’의 ‘중’(中)에는 부정적인 가치판단이 포함돼 있다. 위대한 두 황금기의 ‘중간에 낀’ 무지와 야만과 암흑의 천년이란 뜻이다.
중세에 대한 이런 고정관념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도 이어졌다. 하지만 19세기 낭만주의 등장과 더불어 중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진다.
중세 기사도를 찬양한 ‘아이반호’를 쓴 작가 월터 스콧,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독일 역사가 랑케 등에 의해 중세에 대한 부정적 시선은 반박된다. 오늘날 진지한 역사가로서 중세를 암흑시대로 보는 이는 없다. ‘중세’에 내포된 초기의 부정적 함의는 사라졌고, 지금은 가치중립적 용어로 사용될 뿐이다.
19세기 이후 유럽에서 발달한 근대 역사학은 일본을 거쳐 20세기 전반에 한국에 도입된다. 그러나 동아시아 역사는 유럽과 다른 길을 걸었다. ‘첫 번째 황금시대와 두 번째 황금시대 사이에 낀 중간기’라는 발상에서 비롯된 3분법은 아시아권 역사에는 맞지 않는다. 몸에 안 맞는 옷이다.
그러나 근대적 학문 수용 과정에서 서양의 시대 구분법 도입은 불가피했다. 맞지 않는 옷에 안주할 수 없었던 역사가들이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거듭하며 독자적인 시대구분법을 모색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서 있는 곳이 다르면 풍경도 달라지니까.
2021-03-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