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월, 대전
젊은 세대는 나이 한 살 차이로도 선후배를 가르고 상하 위계를 만든다. 심지어 같은 나이에도 생일이 이른지 늦은지로 기어이 위아래를 나누고 만다. 유교 전통사회의 장유유서(長幼有序) 문화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조선 후기의 실학자 연암 박지원(1737년생)은 열세 살 어린 박제가(1750년생), 열일곱 살 어린 이서구(1754년생)와 벗으로 지냈다.
교육학자 신정민 박사에 따르면 당시에는 지금보다 나이에 관대했다. 양반들의 사귐에는 학문이 중요했기 때문에 나이가 어려도 학문이 출중하면 기꺼이 벗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오성과 한음 이야기로 유명한 한음 이덕형(1561년생)과 백사 이항복(1556년생)도 다섯 살 차이였지만 친구로 지내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20세기 들어서도 이런 전통은 유지됐다. 수주 변영로(1898년생)는 한학자 위당 정인보(1893년생)보다 다섯 살 아래였지만 어려서부터 친구였다. 당연히 서로 허물없이 반말을 했다. 시인 박인환(1926년생)과 김수영(1921년생)도 다섯 살 차이였지만 친구로 지냈다.
어릴 적 고향에서 종종 듣던 말이 있다. “상놈은 나이 먹는 게 벼슬이다.” 연암 박지원의 경우에서 보듯이 학문과 실력만 있으면 나이가 어려도 인정받을 수 있는 양반과 달리 상놈은 나이 말고는 내세울 게 없다는 뜻이다. 유교 전통 속에서도 나이만 앞세우는 걸 부끄럽게 여기는 기풍이 맥맥이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사람이 오죽 내세울 게 없으면 나이 자랑이냐는 거다. 그렇다면 몇 달 차이로 위아래를 가르는 풍토는 천민자본주의 시대임을 방증하는 것일까.
일제강점기의 학교 선후배 서열과 군사문화의 영향이 크다. 그 결과 유치원에서 어린이들이 처음 만나 묻는 말도 “몇 살이야”다(SBS 스페셜, 한국의 서열문화 ‘왜 반말하세요?’). 만나서 먼저 정하는 것도 형, 동생 서열이다. 수평적 소통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일제잔재와 군사문화를 버려야 한다. 아이들에게 수평적 언어를 가르쳐야 한다. 햇살 드는 골목길에 빨강, 노랑, 파랑 친구들이 걸어간다. 색깔에 무슨 위아래가 있을까.
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2020-03-04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