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熱情)은 영어로 ‘인수지애즘’(enthusiasm)이다. 미국 생태학자 르네 듀보는 이 단어의 어원(en과 theos)을 풀어 ‘내재(內在)하는 신’(a God within)이라고 풀이한다. 내 안에 ‘신’이 임한 상태가 열정이라는 것이다. 당연히 열정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없다. 열정적인 삶이란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불가항력적으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운다. 그것은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과 불행을 수반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위대한 생애가 그런 것 아니었던가?
독일 문호 괴테는 ‘괴테와의 대화’에서 말한다. “나는 지금 열여덟 살이 아니라는 것이 기쁘네. 내가 열여덟 살이었을 때는 독일도 겨우 열여덟 살이어서 아직 무언가를 할 수 있었지. 하지만 지금은 어느 쪽을 보아도 길이 막혀 있네. 나는 모든 게 갖춰진 이 시대에 젊지 않다는 것을 하늘에 감사하고 있어. 젊었더라면 미국으로 도망쳤을지도 모를 일이야.”
한국 사회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그러나 괴테처럼 생각한다면 오히려 긍정적으로 생각할 여지가 있다. 그만큼 기회가 많다는 뜻도 된다. 현실을 개선하고 역사를 발전시킬 임무를 준다. 역설적으로 모든 게 갖추어진 선진국 젊은이들은 불행한 처지일 수도 있다. 모든 게 완비된 체제 안에서 개인의 역할은 극도로 제한된다. 그 결과 마약, 총기 등 퇴폐와 일탈에서 돌파구를 찾기도 한다.
결국 인간의 삶이란 열매나 결과보다는 가치와 의미를 위해 투쟁해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더 중요한 것이 아닐까.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아직 해야 할 일이 지천으로 널려 있는 한국 사회야말로 힘들기는 하지만 값진 성취감을 맛보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기회의 땅이 아닐까.
그래서였을까? 괴테는 ‘과정’의 중요성을 이렇게 말한다. “매너리즘에 빠진 사람은 늘 작업을 끝내기만 바라며 작업 자체에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네. 그러나 진정으로 위대한 작가는 제작 과정에서 최상의 기쁨을 발견하지. 재능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예술 그 자체에 만족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그것을 끝내고 얻게 될 이익만을 염두에 두는 법이지.”
코끼리가 큰 귀를 펄럭이며 열정적으로 돌진하고 있다. 역사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기쁨을 느끼는 열정적인 젊음이 많아지기를, 그리고 그들을 격려하는 사회가 되기를.
2010년 2월, 전북 삼례
한국 사회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그러나 괴테처럼 생각한다면 오히려 긍정적으로 생각할 여지가 있다. 그만큼 기회가 많다는 뜻도 된다. 현실을 개선하고 역사를 발전시킬 임무를 준다. 역설적으로 모든 게 갖추어진 선진국 젊은이들은 불행한 처지일 수도 있다. 모든 게 완비된 체제 안에서 개인의 역할은 극도로 제한된다. 그 결과 마약, 총기 등 퇴폐와 일탈에서 돌파구를 찾기도 한다.
결국 인간의 삶이란 열매나 결과보다는 가치와 의미를 위해 투쟁해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더 중요한 것이 아닐까.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아직 해야 할 일이 지천으로 널려 있는 한국 사회야말로 힘들기는 하지만 값진 성취감을 맛보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기회의 땅이 아닐까.
그래서였을까? 괴테는 ‘과정’의 중요성을 이렇게 말한다. “매너리즘에 빠진 사람은 늘 작업을 끝내기만 바라며 작업 자체에는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네. 그러나 진정으로 위대한 작가는 제작 과정에서 최상의 기쁨을 발견하지. 재능이 부족한 사람일수록 예술 그 자체에 만족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동안에도 그것을 끝내고 얻게 될 이익만을 염두에 두는 법이지.”
코끼리가 큰 귀를 펄럭이며 열정적으로 돌진하고 있다. 역사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기쁨을 느끼는 열정적인 젊음이 많아지기를, 그리고 그들을 격려하는 사회가 되기를.
2018-09-05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