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그러나 잠깐, 지금도/ 마음 홀리는 와인 한 병 잡으려/ 주머니 사정 살펴가며 마트의 와인 부스를 뒤지고/ 늦저녁 전철에서 빈자리 놔둔 채 꼭 껴안고 서 있는/ 젊은 남녀를 멍하니 바라보기도 한다./죽음이 없다면/ 세상의 모든 꽃들이 가화가 되는 건 맞다.”(‘죽음아 너 어딨어?’ 부분)
죽음을 생각해야 세상의 꽃들을 제대로 느끼게 된다. 하지만 쉽게 죽음의 시각에서 삶을 논할 수 없기도 하다. 그래서 “마지막 날이 오면 나비나 벌처럼 조그맣고 가벼운 것/이 되어/ 꽃잎들에게 바쁘면 먼저 자리 뜨게! 하고/혼자 천천히 날아갈 텐데.”라고 초탈의 꿈도 꾸지만, “삶의 짐 다 부려놓고 홀가분하게 누워 있는 꽃잎들”(‘날개 비벼 펴고’ 부분)이 되는 건 쉽지 않다. 죽음의 순간까지도 삶의 짐은 벗기 힘들다.
황정은의 단편 ‘파묘’는 삶과 죽음의 밀착된 끈을 사유한다. 이순일과 둘째 딸 한세진이 “찾아오는 이도 없이 버려진 듯 산속에 남을” 외조부의 묘를 파묘하는 과정을 다룬다. 죽은 자를 영원히 떠나보내는 파묘라는 사건은 사람들의 내면에 숨겨진 사연들,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갈라짐의 지점을 땅 위로 드러나게 한다. 어린 이순일을 거둬 기른 외조부, 서로 다른 감각을 지닌 모녀관계, 그리고 다른 가족들을 둘러싼 상념들이 파묘의 과정에 적절하게 끼어든다. 파묘되어 망각의 세계로 들어가는 존재와 각자의 생활을 꾸려 가야 하는 사람들 사이의 간극이 또렷하게 부각된다. 삶과 죽음의 거리다. 그래서 한세진은 “아무것도 빌지 않고 절을 올리면서, 그쪽 방향엔 그의 뼈가 이미 없다는 것을 생각했다.” 이순일은 다르게 느낀다. “할아버지한테 이제 인사하라고, 마지막으로 인사하라고 권하는 엄마의 웃는 얼굴을 보았다면 누구라도 마음이 아팠을 거라고, 언제나 다만 그거였다고 말하지는 않았다.” 이 마지막 장면에는 언어로 채 담을 수 없는 마음의 격동이 전해진다.
얼마 전 선산을 이장해야 했다. 선산이 도로공사 부지로 수용된 탓이다. 몇 달에 걸쳐 이장 준비를 하면서 황정은의 ‘파묘’를 떠올렸다. 묘를 개장하면서 드러난 어머니의 유골을 수습하면서 어쩌면 나도 이게 “마지막 인사”일 거라는 느낌을 받았다. 문득 죽음의 의미를 생각했다. 이장 과정에서 많이 불거진다는 가족이나 친족 사이의 해묵은 감정들이 뾰족하게 나타나지 않아 다행이었지만, 미묘하게 부딪치는 감정들이 없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힘든 결정은 어떻게 이장할 것인가였다. 여러 논의 끝에 가장 자연친화적이라는 수목장으로 모셨다. 좁은 나라에서 그나마 자연을 덜 훼손하고 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장례 방식이 수목장이라는 의견,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장례 방식을 원하는 의견 사이에서 설왕설래도 있었다. 그런데 그 모든 말들은 ‘파묘’가 보여 주듯이 영원히 망각의 세계로 들어가는 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느낌도 들었다. 살아 있는 이들이 내놓은 말과 의견들은 다른 곳으로 영원히 떠나가는 이들을 위한 것처럼 짐짓 들리지만, 실은 어떻게든 삶을 각자 꾸려 가야 하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죽음을 ‘돌아가셨다’라고 종종 표현한다. 우리는 언젠가 왔던 곳으로 되돌아간다. 어디로 돌아가는가? 어느 철학자는 ‘우리는 우주에서 왔으니 우주로 돌아간다’라고 썼다. 그렇게 우리는 바다에서 왔으니 바다로 돌아간다. 흙으로 돌아간다. 혹은 불교에 기대면 원소(흙, 물, 불, 공기)의 결합이 생명체이니 때가 되면 다시 흩어져 원소로 돌아간다. 그러나 그렇게 떠나 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죽음을 떠올리고 그런 죽음을 사유한다 해도 삶의 중력을 쉽게 벗어날 수는 없다. 지금, 여기에서 어떻게든 붙들고 살아야 하는 삶과 현실에 대한 애착과 욕망을 초월하지는 못한다. 손쉬운 초탈을 허용하지 않는 삶의 무거운 중력이다. 한 해의 끝은 삶과 생활이 지닌 무게를 예민하게 느끼는 때다. 새해에는 올해보다는 삶의 무게가 조금은 가벼워지길 소망한다.
2020-12-3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