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로 만든 도구를 사용한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적어도 수백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구석기시대의 주인공은 단연 석기, 즉 돌이다. 그 시대의 유물로 남은 것들이 대부분 돌로 만든 도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초의 도구는 나무였을 가능성이 크다. 침팬지가 나뭇가지를 능숙하게 도구로 활용하는 장면에 대한 목격담이 숱하게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초기 인류도 나뭇가지를 다양한 형태의 도구로 사용했으리란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나무를 본격적으로 도구로 사용한 시점을 밝혀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유기물질인 나무가 오랜 기간 원형을 유지한 채 남아 있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일의 쇠닝겐 유적 같은 곳에서는 약 40만 년 전의 나무창들이 여러 점 발굴되어 초기 인류의 나무 도구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전해 주고 있다. 쇠닝겐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창들은 끝부분을 매우 날카롭게 다듬었고 무게중심이 오늘날의 투창과 같이 앞부분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멀리 던질 수 있었던 치명적인 사냥 도구였음이 분명하다. 그리고 이 나무창의 끝부분에 돌로 만든 창촉들이 부착되면서 나무창의 성능과 위력은 더욱 배가되었을 것이다.
이렇듯 인류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 나무들이 본격적으로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은 인류가 자루를 발명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나무로 만든 자루는 돌로 만든 도구와 결합해 도구를 더 유용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도구의 성능도 월등하게 높일 수 있었다. 나무 자루는 인류가 최초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재료를 결합해 효율성과 활용도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도구를 창조해 내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석기를 만들면서 새로운 기술 시대로 접어든 인류가 석기에 나무 자루를 달면서 한 단계 다른 차원의 기술혁신의 길로 들어설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무 자루는 인류 진화의 새로운 이정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재료를 융합하고 결합해 원재료가 갖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을 개선해 완전히 다른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인류의 창조적인 지적 능력이 본격적으로 발휘되어 만들어낸 첫 번째 작품이 바로 나무 자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석기시대는 돌과 나무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재밌는 일에 정신 팔려 시간 가는 줄 모른다는 뜻이지만 자루가 썩어버린 도끼는 쓸모가 없다는 것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도끼는 자루가 있어야 가치가 있고 자루는 도끼가 있어야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는 수많은 도끼와 자루가 있다. 보수와 진보, 강자와 약자, 남성과 여성, 어느 쪽이 도끼이고 어느 쪽이 자루이든 같이 결합하고 함께해야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교훈을 하물며 구석기시대의 나무 자루도 말해 주고 있다.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그러나 나무를 본격적으로 도구로 사용한 시점을 밝혀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유기물질인 나무가 오랜 기간 원형을 유지한 채 남아 있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일의 쇠닝겐 유적 같은 곳에서는 약 40만 년 전의 나무창들이 여러 점 발굴되어 초기 인류의 나무 도구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전해 주고 있다. 쇠닝겐 유적에서 발견된 나무창들은 끝부분을 매우 날카롭게 다듬었고 무게중심이 오늘날의 투창과 같이 앞부분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멀리 던질 수 있었던 치명적인 사냥 도구였음이 분명하다. 그리고 이 나무창의 끝부분에 돌로 만든 창촉들이 부착되면서 나무창의 성능과 위력은 더욱 배가되었을 것이다.
이렇듯 인류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 나무들이 본격적으로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것은 인류가 자루를 발명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나무로 만든 자루는 돌로 만든 도구와 결합해 도구를 더 유용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도구의 성능도 월등하게 높일 수 있었다. 나무 자루는 인류가 최초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재료를 결합해 효율성과 활용도를 높인 새로운 형태의 도구를 창조해 내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석기를 만들면서 새로운 기술 시대로 접어든 인류가 석기에 나무 자루를 달면서 한 단계 다른 차원의 기술혁신의 길로 들어설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무 자루는 인류 진화의 새로운 이정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재료를 융합하고 결합해 원재료가 갖고 있던 한계를 극복하고 성능을 개선해 완전히 다른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인류의 창조적인 지적 능력이 본격적으로 발휘되어 만들어낸 첫 번째 작품이 바로 나무 자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석기시대는 돌과 나무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다.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재밌는 일에 정신 팔려 시간 가는 줄 모른다는 뜻이지만 자루가 썩어버린 도끼는 쓸모가 없다는 것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도끼는 자루가 있어야 가치가 있고 자루는 도끼가 있어야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는 수많은 도끼와 자루가 있다. 보수와 진보, 강자와 약자, 남성과 여성, 어느 쪽이 도끼이고 어느 쪽이 자루이든 같이 결합하고 함께해야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교훈을 하물며 구석기시대의 나무 자루도 말해 주고 있다.
2018-11-28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