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인천에서 만납시다/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인천에서 만납시다/번역가

입력 2021-09-15 19:58
수정 2021-09-16 0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인천에서 나고 자라 결혼 후 10년간 서울살이를 했고 이어 처가가 있는 부천에서 6년을 산 뒤 인천으로 돌아온 지 7년째다. 나야 인천 토박이이니 괜찮지만 아내와 딸은 인천이라는 이 오랜 도시를 별로 탐탁지 않아 한다. 내가 “너희는 이제 인천 사람이야”라고 하면 둘 다 “우리는 부천 사람이거든”이라고 발끈하곤 한다. 서글픈 일이다. 두 사람은 내 고향의 ‘유서 깊음’과 ‘정겨움’을 ‘칙칙함’과 ‘촌스러움’으로 받아들인다.

나와 모녀의 이런 가치관 차이는 주말에 외식이나 쇼핑을 하러 갈 때마다 두드러진다. 둘은 굳이 시 경계를 넘어 부천으로 가자고 한다. 그러면 나는 꼼짝없이 따라가면서도 속으로 ‘가까운 만수동에 가면 좀 좋아’라고 투덜댄다. 만수동은 우리 집이 있는 장수동 옆의 오래된 구시가지다. 모녀의 눈에는 역시 칙칙하고 촌스럽기 짝이 없는 데다 주차 시설도 변변치 않은 곳이다. 하지만 똑같은 그 만수동이 내 눈에는 유서 깊고 정겹기 그지없어 요즘에도 나는 매일 그곳의 스터디카페로 일을 하러 다닌다.

하지만 우리 가족의 이런 대치 국면은 2018년 6월 전국 지방선거를 앞두고 잠시 해소됐다. 당시 자유한국당의 한 국회의원이 “서울 살다가 이혼하면 부천 가고 망하면 인천 간다”는 ‘이부망천’ 발언을 했기 때문이다. 졸지에 서울에서 밀려난 빈민이 돼 버린 우리 가족은 모처럼 한마음이 됐다. 당시 우리는 어이가 없었다. 사회 지도층 인사가 그렇게 획일적 기준으로 다수를 낙인찍는 발언을 일삼으면 안 되지 않는가. 우리 가족은 서울 살다가 부천 가고 또 인천에 왔지만 이혼한 적도 망한 적도 없는데 말이다.

그 후로 나는 한 가지 작은 결심을 했다. 누가 내게 도움을 얻고자 만나자고 하면 가능한 한 인천으로 부르겠다고. 그 전까지는 예외 없이 홍대입구역이나 광화문으로 약속 장소를 정했었다. 마치 서울에서 만나는 게 너무나 당연하다는 듯이 말이다. 인천에서 만나면 안 된다는 법이라도 있나. 지방 사람이 서울로 가는 것은 괜찮고 서울 사람이 지방으로 오는 것은 불편하고 어색하단 말인가.

이틀 전에도 내게 상담을 받고 싶다는 대학 졸업반 여학생을 인천 만수동으로 불렀다. 신촌에서 버스로 한 시간을 달려온 그에게 점심을 사 주며 얘기를 나누다가 그가 부산 출신이라는 것을 알았다. “부산은 살기 좋나요?”라고 묻자 그는 “떠나고 나서야 부산이 살기 좋은 걸 알았어요. 하지만 저는 꼭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고 싶었어요”라고 답했다. 직장도 이미 서울에서 구해서 신림동으로 출퇴근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신촌에서 신림동은 먼 거리가 아니어서 다행이었지만 신림동의 비싼 주거비가 마음에 걸렸다. 하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주거비를 아끼거나 좋은 주거 환경을 확보하려고 직장에서 멀리 떨어져 살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 이유에 대해 그는 웃으며 “잠이 중요해서가 아닐까요?”라고 했고, 나는 “세대 차예요. 나는 대학 때 매일 4시간씩 전철 타고 통학을 했어요”라고 푸념했다.

작년 기준으로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 인구는 2603만 8307명으로 전국 인구의 50.2퍼센트인데, 이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이 수치는 가임 여성 1명당 0.837명이라는 세계 최저 출산율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지난 10년간 정부가 100조원의 예산을 저출산 문제 해결에 쏟아부었는데도 효과가 전무했던 것은 바로 이 수도권 과밀화 때문이다. 수도권 도시에 살아야 좋은 일자리를 구할 수 있고 풍부한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다. 그래서 젊은이들이 수도권에 몰려드는 바람에 기업도 수도권에 위치해야만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구 과밀화로 수도권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나날이 악화돼 결혼과 출산이 어려워짐으로써 이 나라의 미래는 암담해져만 간다.

그런데 문득 저출산 현상이 단지 한국만이 아니라 자본주의 발전의 고도화 단계에서 인류라는 종이 부딪힌 개체 감소의 자연스러운 국면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올해 전 세계 인구는 78억명으로 지난 1세기 동안 무려 4배나 증가했고, 지구가 먹여 살릴 수 있는 한계 인구는 120억명이라는 통계를 본 적이 있다. 어쩌면 인류는 지금 종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 스스로 밟아야 할 단계를 밟아 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2021-09-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