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우 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가짜 그리스도는 유대 족속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고 먼 이방 족속에서 나오는 것도 아니다. 잘 들어 두어라. 가짜 그리스도는 지나친 믿음에서 나올 수도 있고, 하느님이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사랑에서 나올 수도 있다. (…) 아드소, 진리를 위해서 죽을 수 있는 자를 경계하여라. 그들은 대체로 많은 사람을 죽게 하는 법이다. 진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에서 우리 자신을 해방시키는 일,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좇아야 할 궁극적인 진리가 아니겠느냐.” 주인공 윌리엄 수사가 조수 아드소에게 전한 메시지다. 지금 다시 읽어도 서늘한 깨달음을 선사한다. 이 대목은 ‘한 권의 책만 읽은 사람을 조심하라’고 갈파했던 중세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목소리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비유컨대 어떤 사람은 한 권의 책만 읽었기에, 더 과격하고 단순할 수 있다. 그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은 오로지 그 한 권의 책일 테니까.
물론 진리와 정의를 향한 대담한 실천과 용기가 소중한 미덕이 될 때가 분명 존재한다. 문제는 이 시대 한국 사회에 자신의 행동은 대의를 위한 용기이나, 타자의 행동은 맹목과 독선이라고 생각하는 진영론적 사고가 팽배해 있다는 점이다.
양분된 이념과 세력으로 인한 전쟁을 겪은 분단된 사회이기에, 어느 해인들 분열, 갈등, 대립이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가 없겠지만, 유독 올해는 사회 전반적으로 대립과 갈등이 극심했다. 세대, 계층, 성(性), 지역, 정치적 입장을 둘러싼 대립과정에서 자신과 생각을 달리하는 사람들에 대한 증오, 조롱, 경멸, 원한, 공격이 넘쳐났다.
몇몇 인기 스타와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마저 그런 압박과 대립의 과정에서 받은 마음의 상처를 견딜 수 없어, 세상을 뜨기도 했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마음의 그늘과 폭력을 상징하는 죽음이 아닐까. 경제는 세계 10위권이지만, 사람들 마음의 품격과 소양도 그런지 이 사회를 되돌아보게 된다. 한국 사회에는 한마디로 자신과 생각 및 감성, 취향을 달리하는 사람들에 대한 포용력이 현저히 부족하다. 내 관점에 오류와 미숙함, 편향, 모순이 존재할 수 있다는 상상력이 절실하게 필요한 사회다. 누구나 사유라는 면에서는 자신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는 한계를 원천적으로 벗어날 수 없겠지만, 한번쯤은 왜 저 사람은 저런 관점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감각과 태도가 요구된다.
이런 의미에서 정경심 교수 재판 과정에서 재판부가 검사에게 했다는 발언, 즉 “검사님, 재판부는 토론하고 합의해서 이미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저희들의 결정이 틀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왜 검사들은 자신들이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못 합니까”라는 발언은 지금 한국 사회에서 매우 귀한 태도이지 싶다.
이즈음 사람들은 나와 생각을 달리하는 타자와의 대화나 토론을 통해 진실을 찾지 않는다. 대개 손안의 스마트폰과 유튜브의 세계가 오로지 진실에 부합된다고 여기는 안이한 생각, 소셜미디어에 넘치는 확증 편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런 세태를 생각할수록, 재판부의 태도는 돋보인다. “저희의 결정이 틀릴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행되는 재판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한층 더 섬세하고 구체적인 진실에 다가갈 수 있으리라. 그런 태도야말로 맹목과 구별되는 진정한 용기가 아닐까.
2019년이 저물고 있다. 다가오는 2020년은 조금이라도 분열과 대립의 상처가 아물어 가는 한 해, 새로운 만남과 통합을 일구는 따뜻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
2019-12-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