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어느 이집트학자의 행운/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어느 이집트학자의 행운/이집트 고고학자

입력 2021-12-27 20:20
수정 2021-12-28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스러운 소 집단 무덤 세라피움
프랑스인 메리에트가 발견
소싯적 읽었던 학자의 글귀 단서
“이집트 유물, 이집트에 보존돼야”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로 유명한 사카라의 북부에는 세라피움이라는 이름의 유적이 있다. 이곳은 아피스신의 화신으로 여겨지던 성스러운 황소들의 집단 무덤이다. 이 황소들은 인근 멤피스에 있었던 프타 대신전에서 신으로 숭배됐는데, 이 신성한 소들에 대한 숭배는 오늘날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처럼 한 마리의 소를 특정해 살아 있는 신으로 숭배하다가 그 소가 죽으면 다른 소를 선택해 다시 신으로 섬기는 방식으로 1000년 이상 이어졌다.

이곳에서 발견된 다량의 비문에는 소들이 사망한 시기가 왕의 재위 연도와 함께 쓰여 있기 때문에 이집트 역사의 편년 체계를 만드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됐다. 세라피움의 발견 과정에는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학자가 한 명 등장한다. 바로 프랑스의 이집트학자 오귀스트 마리에트다.

마리에트는 1821년 프랑스의 불로뉴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자주 불로뉴박물관을 찾았다. 이집트 미라에 매료됐고 그것이 이집트학을 공부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놀랍게도 독학으로 고대 이집트어와 콥트어를 공부했다. 고대 이집트어는 1822년에 샹폴리옹에 의해 해독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가 청소년이 됐을 무렵에는 이 고대어를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은 됐을 것이다. 그렇게 성인이 된 마리에트는 많은 양의 이집트 유물을 소장하고 있던 루브르박물관에서 일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사카라의 세라피움 내부.
사카라의 세라피움 내부.
1850년 박물관은 콥트어 파피루스 수집이라는 임무를 부여해 마리에트를 이집트로 출장을 보냈다. 콥트 장로회가 필사본을 건네주기를 기다리며 카이로에서 유유자적 시간을 보내던 마리에트는 석회암으로 만든 스핑크스가 카이로의 골동품 시장에서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도굴품이 분명한 이 유물들의 출처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는데, 곧 스핑크스들이 사카라에 있는 고대 멤피스의 공동묘지에서 출토됐다는 정보를 파악하고 홀연히 카이로를 떠나 사카라로 향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획이 있었던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마리에트는 사카라에 도착해서도 특별하게 어떤 작업에 착수할 수는 없었다.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정처 없이 사카라 전역을 돌아다니는 것뿐이었다. 그런데 우연히 그는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바로 북서쪽에서 땅 위로 튀어나와 있던 특이한 모양의 물체를 발견하게 됐다. 마리에트는 곧 그것이 암시장에서 보았던 스핑크스와 같은 것임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그 순간 소싯적에 열심히 읽었던 기원전 1세기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이 사카라 지역을 묘사했던 글귀를 떠올렸다.

“세라피움은 모래벌판에 자리잡아 바람이 높은 모래언덕을 쌓아 올린다. 그 모래언덕 밑에서 우리는 스핑크스를 보았다. 모래에 반쯤 묻혀 있는 것도 있고, 머리까지 완전히 묻혀 버린 것도 있었다.”

마리에트는 직감적으로 이곳이 아피스의 현현(顯現)으로 여겨지며 신성한 황소를 매장하던 세라피움임을 알아차렸다. 그는 즉각 인근 마을에서 수십 명의 인부를 고용해 이 지역에서 발굴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마리에트는 루브르박물관이 파피루스 구입을 위해 지급했던 비용을 자의적으로 써 버렸는데, 일종의 공금횡령이었지만, 이 발굴이 워낙 놀라운 학문적 성과였던 까닭에 다행스럽게도 박물관 측에서는 마리에트의 자의적 행동을 크게 문제 삼지 않았다.

세라피움 발굴은 마리에트에게 이집트학자로서 최고의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그는 명성을 얻는 것만으로 학자 인생을 마무리하지는 않았다. 마리에트는 당대의 서양 학자들과는 달리 이집트의 유물들이 이집트에서 보존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고, 그 주장에 걸맞게 1858년에는 카이로 교외에 박물관을 하나 설립했다.

이 박물관이 바로 1902년에는 카이로 중심가인 타흐리르광장으로 옮겨 온 이집트의 국립중앙박물관 격인 이집트박물관이다. 마리에트는 세상을 떠난 뒤에도 이 박물관과 영원히 함께하게 됐다. 박물관의 안뜰에 묻힌 것이다. 오늘날에도 이곳에서는 마리에트의 무덤을 만날 수 있다.
2021-12-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