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인권 마법사’ 제디 이야기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인권 마법사’ 제디 이야기

입력 2019-12-09 17:46
수정 2019-12-10 09: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 제디는 이런 모습이었는지도 모른다. 카아페르의 목재상, 고왕국 4왕조 시대, 기원전 2470년경.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소장.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 제디는 이런 모습이었는지도 모른다. 카아페르의 목재상, 고왕국 4왕조 시대, 기원전 2470년경.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소장.
‘웨스트카 파피루스’(Westcar Papyrus)에는 제디(Djedi)라는 이름의 독특한 인물이 등장한다. 이 문헌은 역사적 기록이라기보다는 ‘옛날이야기’에 가깝고, 그렇기 때문에 제디는 역사적 실재 여부도 분명치 않은 인물이지만, 그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인간관’에 대해 살펴보기에는 좋은 자료다.

이야기는 쿠푸(Khufu)의 치세인 고왕국 4왕조 시대(기원전 2500년경)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야기 속에서 왕자 호르제데프(Hordjedef)는 아버지에게 제디라는 인물에 대해 소개한다. 제디는 매일 500조각의 빵을 먹고 100잔의 맥주를 마시는 110세의 기인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는 ‘토트 신의 비밀의 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현자이기도 했다. 당시 ‘쿠푸의 지평선’, 즉 대피라미드의 건설에 열을 올리던 쿠푸는 이 인물에 대해서 큰 관심을 보인다. ‘토트 신의 비밀의 방’은 피라미드 건설과 깊은 연관이 있었기 때문이다. 쿠푸는 왕자 호르제데프에게 제디를 데려올 것을 명했다.

호르제데프는 곧 배를 타고 남쪽으로 떠났다. 그가 도착했을 때 제디는 멍석에 누워서 하인들에게 마사지를 받고 있었다. 호르제데프는 나이에 걸맞지 않은 제디의 젊음에 대해 찬사를 보낸 뒤, 왕이 그의 소환을 명했다는 사실을 정중하게 전했다. 제디는 정중하게 답한 뒤, 몇 가지 문서들을 챙겨서 제자 몇 명과 함께 호르제데프를 따라 파라오의 궁정으로 떠났다.

궁정에 도착한 제디는 곧 파라오를 알현하게 됐다. 제디는 파라오를 보자마자 “왕이시여, 부름을 받은 자가 지금 왔습니다”라고 공손하게 인사했다. 그런 그에게 파라오는 다짜고짜 “그대는 잘린 목을 다시 붙일 수 있다고 하던데 정말인가”라고 물었다. 제디는 “예, 저는 그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자신 있게 대답했다. 이에 쿠푸는 즉각 “감옥에서 죄수 한 명을 데려와 참수하라”고 명했다. 그런데 파라오의 이와 같은 명령에 대해 제디가 보인 반응이 주목할 만하다. 제디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파라오의 명령에 대해 강력한 항의의 뜻을 표했다. “폐하, 인간은 안 됩니다. 존엄한 존재의 머리를 잘랐다 붙이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습니다.”

제디는 인간, 심지어는 사회적으로 가장 낮은 지위를 갖고 있는 감옥의 죄수 역시도 분명하게 ‘존엄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제디는 ‘인간의 존엄성’이라는 가치를 위해 파라오라는 거대한 권력에게 저항했다. 결국 제디는 한 사람의 존귀한 목숨을 구한 셈이다. 제디를 ‘인권 마법사’라고 칭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제디의 반응에 대해 파라오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기록돼 있지 않지만, 곧바로 “그래서 거위를 끌고 와 머리를 잘랐다”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보면, 파라오도 제디의 항의에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던 것 같다.

제디는 마법을 사용해 잘린 거위의 목을 성공적으로 다시 붙였다. 쿠푸는 한 번의 실험으로는 부족했는지, 소를 가지고도 같은 마법을 보여 줄 것을 명했다. 제디는 다시 마법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해서 제디의 마법 시연은 끝이 나고, 쿠푸는 본격적으로 ‘비밀의 방’에 대해 묻기 시작했다. 제디는 ‘비밀의 방’이 헬리오폴리스에 있다고 알려준 뒤, 거기에 덧붙여 몇 가지 예언까지 들려주었다. 이에 쿠푸는 그에게 큰 상을 내리고 더불어 호르제데프의 저택에서 살 권리까지 주면서 이야기는 끝을 맺는다.
이미지 확대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고대 이집트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자연스럽게 파라오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많은 이들을 착취하는 장면을 떠올릴 것이다. 이집트 사회에 그런 면이 전혀 없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언제나 그렇기만 했다고도 말할 수 없다. 고대 이집트 사회도 분명히 사람이 살아가는 곳이었고, 그 시공간 속에서 일찌감치 인간의 존엄성을 인식하고 그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던 제디 같은 이들도 분명히 존재했던 것 같다. 물론 ‘웨스트카 파피루스’는 ‘옛날이야기’에 가까운 기록이지만, 당시 이런 이야기가 널리 알려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야기 속에 담긴 인간관도 이집트 사회에 꽤 널리 퍼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2019-12-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