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특별공훈교수
그 기사를 보는 순간 놀라웠던 것은 일본이 자체적인 해양 관측위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 위성으로 중국의 군사시설을 면밀히 탐색할 우주 능력이 있었다. 그래서 그때부터 일본의 우주 개발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고, 지금은 한국의 우주 개발에 대한 독려와 격려를 신문과 방송을 통해 이어 오고 있다. 학문을 하는 연구자는 연구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계기가 마련되게 되는데, 나에게는 본업인 국제정치와 우주 개발이라는 과학을 융합하는 연구의 인연이 시작된 셈이다.
지금도 우주 개발 서적은 일본에서 제일 큰 서점인 기노쿠니야에서 사서 읽는데 일본에는 우주 개발에 관한 책들이 참 많다. 한국은 본격적인 우주 개발을 1990년부터 시작했으니 일본에 비하면 얼마나 늦었는가 하는 성찰이 있었으나 국력이 약한 한국의 처지로서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이었다.
그러나 수많은 우여곡절은 겪은 2021년 현재는 지상 물체 30센티미터 크기의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아리랑 7호를 개발하고 있다. 로켓은 아직 국산화에 성공하지 못했으나 인공위성 분야는 그나마 속도가 빠른 편이다. 해상도 6.6미터인 아리랑 인공위성 1호가 1999년, 해상도 1미터급인 아리랑 위성 2호가 2006년, 해상도 70센티미터급인 아리랑 3호가 2012년, 해상도 55센티미터급인 아리랑 3A호가 2015년에 발사됐는데, 이제는 30센티미터급의 인공위성이 가능하게 됐다. 30센티미터급은 북한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군사시설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고성능 인공위성이다,
일본 첩보위성의 해상도가 30센티미터급이고 미국의 첩보위성은 10센티미터급이니 한국의 인공위성 능력도 우주 강국들에 크게 뒤지지 않게 됐다. 문제는 숫자다. 일본의 30센티미터급 첩보위성 시스템이 2025년이 되면 총 10기가 된다. 한국은 수적으로 여전히 열세에 놓여 있다. 중국은 첩보위성뿐 아니라 독자적인 우주정거장을 구축할 정도로 우주 강국이다. 한반도 주변 국가 모두가 우주 강국이기 때문에 한국도 속도를 더 내고 일본과 중국에 결코 뒤지지 않는 우주 강국이 되기 위한 국가적 비전이 필요할 때라고 본다.
중국은 2020년 중국판 GPS 시스템인 베이더우를 완성했다. 일본도 준천정위성 시스템이라 하여 일본만의 GPS 시스템을 완성 중이다. 중국, 일본이 독자적인 GPS 시스템을 완성하는데 우리나라의 목표는 2028년이 돼야 1호 GPS 위성을 올릴 수 있을까 말까 할 정도다. 선진국과 주변국들이 우주 강국이 돼 있는데 그 격차를 좁히려면 현 정부든 다음 정부든 우주 개발에 관한 전담 기구를 발족시켜 리더십을 발휘해야 그나마 속도가 붙고 효율적인 우주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국방부도 독자적인 우주 개발을 하고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 산림청, 기상청 등 부처마다 여러 분야에서 우주 정보 수요가 폭증한다. 부처 간 협업 없이 제각각 우주 개발에 매진하면 예산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될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국민이 우주 개발을 먼 나라 얘기로 인식하지 않고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국민과 함께하는 한국의 우주 개발’이 될 때 우주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이고 우주 개발의 결과물들은 우리의 후손들이 덕을 보게 될 것이다. 30센티미터급에 머물지 않고 15센티미터급 해상도를 가진 한국의 인공위성이 개발되기를 기원한다. 한국의 우주 개발은 국가안보와 생존에 직결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2021-05-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