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국립한국문학관, 과열경쟁은 독이다/이순녀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 국립한국문학관, 과열경쟁은 독이다/이순녀 문화부장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6-05-26 22:10
수정 2016-05-27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논설위원
지난 25일 마감한 국립한국문학관 부지 공모에 16개 시·도에서 24개 지방자치단체가 신청서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무려 24대1의 경쟁률이다. 지난해 말 도종환 의원이 대표발의한 문학진흥법이 지난 2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후 지자체마다 앞다퉈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우려됐던 과열 양상이 실제 수치로도 드러났다.

문학진흥법에 따라 한국 문학사를 대표하는 유산과 자료를 보존·전시하는 시설로 건립되는 국립한국문학관은 450억원을 투입해 2020년 개관할 예정이다. 대형 국책사업이다 보니 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서든 단체장 치적을 위해서든 지자체마다 유치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이해 못하는 바 아니다. 공모 열기 덕분에 알게 된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 서울부터 제주까지 전국 곳곳에 이렇게나 많은 문학 유산이 존재하고, 지자체들의 문학에 대한 열정과 이해도가 이렇듯 높은 줄은 미처 몰랐다. 유치환, 김춘수, 박경리의 문학관이 있는 통영시나 이청준, 한승원, 송기숙 같은 유명 문인들을 배출한 장흥군 정도를 대표적인 문향(文鄕)으로 알고 있던 나의 얕은 지식이라니….

그럼에도 지금의 유치전은 과도해 보인다. 마치 세 겨루기 하듯 지역 내 문화예술단체들이 똘똘 뭉쳐 “우리 고장이 최적지”라고 외치는 모습은 보기에 썩 좋은 광경은 아니다. 가령 서울 은평구는 지난 4월 관내 문인, 언론인 등 120명의 인사로 추진위원회를 발족했고, 강원도 내 문화예술단체 12곳은 공모 마감날 춘천시의 국립한국문학관 유치를 적극 지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모에 참여한 모든 지자체가 문학적 상징성, 접근성, 국제교류 가능성 측면에서의 우위를 내세우고 있지만 얼마나 객관적인 평가를 근거로 한 것인지에 대해선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지자체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부지 선정에 지역 안배나 정치 논리가 개입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정 지역이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든 배경에 권력자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식의 루머도 나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작가회의, 한국소설가협회, 한국시인협회, 국제펜클럽한국본부 등 5개 단체는 지난 23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이들 단체가 서울을 최적지로 꼽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보내기도 한다.

이제 공은 소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로 넘어왔다. 곧 문학·출판 분야를 비롯한 사회 각 분야 전문가들로 평가위원회를 구성, 심사를 통해 우선협상 대상 후보지를 추천받은 뒤 7월 중 부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문학계의 숙원과 각 지자체 간 첨예한 이해가 걸린 사안인 만큼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공정성과 객관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가 관건인데 그 첫 단추는 평가위원회의 구성이다. 그리고 이후 진행되는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등 모든 심사 요소의 근거를 투명하게 남겨서 논란의 여지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공정한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행위에 대해 불이익을 주겠다”는 문체부의 경고가 유명무실해지지 않도록 지자체 간 과열 경쟁을 감시하는 데 게을리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앞서 얘기한 대로 이번 공모를 통해 각 지자체의 소중한 문학적 자산이 널리 알려졌다. 설사 국립한국문학관을 유치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런 유산들을 가꿔 나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 모처럼 문학에 쏠린 지역민들의 관심과 에너지를 헛되이 흘려보낸다면 국립한국문학관을 둘러싼 과열경쟁은 독이 될 뿐이다.

coral@seoul.co.kr
2016-05-27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