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주 무용평론가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봤던 복숭아밭의 아름다운 풍경을 잊지 못하고 그리게 했다는 조선의 화가 안견의 ‘몽유도원도’가 춤으로 탄생했다. 제목은 ‘몽유도원무’. 현실과 꿈이 공존하는 낙원이 춤으로 만들어지니 산수화 속에 등장하는 무용수는 인화초와 다름없었다. 지난 21~24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 오른 ‘몽유도원무’는 현대무용가 차진엽이 국립무용단의 안무를 맡아 탄생한 작품이다. 국립무용단은 춤 중에서도 한국무용이 주된 언어다 보니 현대무용가와의 협업이라는 점에서 일찍이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막상 막이 오르자 한국무용, 현대무용 등 춤의 세부 장르에 대한 경계는 그리 중요하지 않았다. 놀랍게도 9명의 남녀 무용수가 수묵화에 생명을 불어넣으면서 그림과 춤의 경계마저 허물어 버렸기 때문이다. 일렉트로닉 뮤지션 하임과 심은용 거문고 연주가가 함께 음악감독을 맡아 들려준 몽환적인 음악은 춤에 세련미를 더하는 데 큰 몫을 했다. 만약 안평대군이 환생해 이 공연을 봤다면 얼마나 감탄하며 즐거워했을까. 자신의 꿈이 수세기를 지나 별천지로 재현됐으니.
‘몽유도원무’와 함께 무대에 오른 ‘신선’ 또한 색다른 묘미를 뽐냈다. 춤과 술과 풍류를 하나의 연장선에 놓고 마치 영화 ‘취권’의 한 장면을 보는 듯 중심 잃은 비대칭 움직임의 나열이 재미를 더했다. 여러 명이 공동 안무를 맡아 완성도를 더하는 것으로 알려진 안무가그룹 고블린파티는 현대판 신선놀음을 풀어냈다. 한 치의 오차도 없을 것 같은 계산된 움직임을 숨 가쁘게 짜 맞춰 가는가 하면 일순간 이 모든 것이 술김에 벌어진 우연이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술의 힘을 빌려 본능을 강조하고 일순간 관습에서 벗어나는 시도를 반복하면서 8명의 무용수 모두가 서서히 신선이 돼 간다. 술잔이 붙어 있는 술상을 머리 위로 치켜들고 굴신을 반복하는 모습이 흥겹다. 전통의상인 듯 아닌 듯 그 경계가 모호한 한현민의 의상 디자인이 이 시대 신선의 모습을 상상하게 했다.
국립무용단은 ‘더블 빌’이라는 제목으로 이 두 작품을 묶었다. 우리는 늘 새로운 예술에 목말라 있고 새 레퍼토리 개발만이 그 해결 방법일 텐데, 그런 점에서 국립무용단의 이번 기획은 창작이 나아갈 방향을 앞서서 보여 줬다고 하겠다. 처음부터 대작을 올리기보다 소극장에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그 가능성을 가늠하는 단계별 기획이 훨씬 믿음직스럽다. 더욱이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이라는 표현 기법에 따른 경계를 과감하게 허물고 안무가와 무용수가 긴밀하게 교류하며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어 냈으니 그 과정에서 탄생한 두 레퍼토리가 더욱 값져 보인다.
국립무용단이 올해로 창단 60주년을 맞았다. ‘전통춤의 현대적 재창조’라는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숨 가쁘게 달려온 시간이다. 전통춤을 복원하거나 고전 작품을 재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늘 새로운 창작품을 만들어야 하니 그 과업의 무게가 녹록지 않았다. 그럼에도 무대 위에서 춤으로 관객과 만나는 즐거움 하나로 혼신의 힘을 다해 온 단원들과 이들을 이끌어 온 예술가들이 있어 한국춤의 맥을 굳건히 이어 올 수 있었다. 이제 성대한 환갑잔치를 준비할 때다. 초심을 잃지 않되 새로운 예술에 대한 열망을 담은 혜안을 갖기 위해 더욱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있기를 기대한다.
“환갑잔치에 풍악을 울려 주시오. 춤 한바탕 멋지게 추어 보리다.”
2022-04-2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