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고통이 필요한 사회/김영준 작가

[2030 세대] 고통이 필요한 사회/김영준 작가

입력 2022-09-05 19:34
수정 2022-09-06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올해로 전업 작가가 된 지 3년이 되었다. 이렇게 기고를 하고 책을 쓰고 매주 유튜브에 모습을 비추다 보니 늘 마주하는 게 사람들의 리뷰와 반응이다. 사람들의 반응에는 언제나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콘텐츠 생산자가 되면 양쪽 반응 모두 투명하게 볼 수 있다.

호평은 언제 봐도 기분 좋은 말들이다. 하지만 그 반대 측면엔 비평과 비판, 더 나아가 악평도 존재한다. 머리로는 그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도 이를 마주하기란 썩 쉬운 일이 아니다. 비판을 마주하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여야 내가 더 성장할 수 있다는 걸 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려 하지만 여기서 꽤 심한 스트레스를 겪을 때도 많다. 설사 그 비판이 타당한 것이고 분명 받아들일 만한 부분이 있음에도 말이다.

사람은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편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그 긍정적인 이미지와 상반되는 정보를 마주하게 되면 거부감이 먼저 들고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기 마련이다. 비판을 받아들이라는 것이 말은 쉬워도 실제로는 어려운 이유다. 불편과 고통을 피하려는 것이 인간의 본능이라면 비판과 비평을 마주하는 건 그 본능을 정면으로 거슬러야 하는 일이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사람들은 이러한 비판을 마주할 일이 많지 않을 것이다. 뒷담화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부정적인 표현과 비판은 내가 보고 들을 수 없는 곳에서 나온다. 나를 걱정하는 조심스럽고 아주 친한 친구 정도만이 내 앞에서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강도로 이야기를 해줄 수 있을 뿐이다. 사회적 지위와 조직 내 위치가 오를수록 동등한 입장에서 이야기를 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더욱 줄어들다 보니 비판에서 더욱 멀어진다.

그러다 보니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간의 편향성은 더욱 강화된다. 하지만 그 현실은 허망하다. 2014년 영국 사회심리학 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범죄로 수감된 사람들도 친절함, 관대함, 자기통제와 도덕성 분야에서 비수감자보다 자신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우리의 편향성이 우리에게 숨기는 진실이다.

다들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살아간다. 그러다 보니 자기 자신은 훌륭한 지성과 논리를 갖춘 인간인 반면 타인은 그렇지 못한 열등한 존재라고 여기는 것 같다. 많은 사회적인 논란과 분쟁들을 관찰하다 보면 보이는 태도들이다.

이것은 비판과 비평을 제대로 마주하지 않아서 그럴지도 모른다. 자기 자신은 논리적이고 이성적이며 남들보다 훌륭하다는 태도는 이 비판과 비평을 회피하기에 매우 유리한 방어기제이기도 하다. 어쩌면 지금 사회에 필요한 것은 벌거벗은 한 인간으로 스스로를 마주하고 비판이란 고통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2022-09-0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