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나치당을 어떻게 견뎠는가? 나무가 자라는 순간을 우리는 알아볼 수가 없다. 범죄도 무거워지는 속도가 느리고 미묘하면 우리 눈을 피할 수 있다. 1933년, 유대인들이 무참히 학살당했다면 평범한 독일인들도 저항했을 것이다. 하지만 단박에 ‘도를 넘는’ 그런 순간은 없었다. ‘계기’는 불현듯 찾아오지 않는다. 이웃이 밤사이에 없어져도 ‘또 그러는구나!’, ‘ 역시나!’ 하고 만다.
어느 독일 아버지는 어린 아들이 “더러운 유대인”이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비로소 알아챈다. 독일이 바뀌었다는 것을. 햄릿의 말을 빌리자면, 무언가 썩었다는 것을. 길거리의 간판들, 식사 시간, 영화관, 즐겨 찾던 휴양지, 모두 보이는 그대로였다. 아버지는 알아채지 못했다. 아니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어린 아들의 입을 통해 마침내 어떤 질서가 무너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햄릿도 ‘계기’를 기다린다. 숙부가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를 농락했다는 증거만 찾는다면 ‘날렵하게 휘몰아쳐’ 보복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증거가 없다. 셰익스피어 시대의 복수극은 말 그대로 ‘복수’가 극의 뼈대인데, ‘햄릿’의 주제는 망설임이고, 햄릿은 복수를 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한 남자로 머문다. 셰익스피어는 알았다. 법은 증거를 요구하는데, 증거는 늘 범죄자의 편이라는 것을.
사마광의 ‘자치통감’에 이런 구절이 있다. 누군가가 “악행이 안 보이는데 무슨 연유인가”라고 묻는다. 다른 누군가는 답한다. “악행은 보이지 않는 게 당연합니다.” 죄는 보이지 않기 마련이고 보이지 않는 죄는 벌할 수도 없다는 아이러니를 셰익스피어는 꿰뚫어 보았다. 그래서 우리는 신이 ‘복수는 나의 것’이라고 약속하며 나를 대신해 벌해 줄 것을 원하는지 모른다. 톨스토이는 이 구절을 ‘안나 카레니나’의 맨 앞머리에 인용한 바 있다.
사회가 천천히, 은밀하게 변할수록 우리는 아이들에게 귀 기울여야 한다. 어린 아들이 유대인을 ‘더럽다’ 하자 문득 깨닫는 독일 아버지에게서 얻는 교훈이다. 우리 눈을 피하는 변화의 깊이를 아이를 통해 가늠할 수 있다. 아이는 구름과 같이, 의지 없이, 우리에게 바람이 부는 방향을 알려 준다. 또는 깨끗한 거울이다. 아이의 입에서 정치, 돈 혹은 ‘더러운 유대인’이라는 말을 듣게 되면, 우리는 계기의 시작을 찾은 것이다.
셰익스피어도 아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어 했을까. 햄릿(Hamlet)과 글자 하나 차이인 셰익스피어의 유일한 아들 햄닛(Hamnet)은 1596년, 열한 살의 나이로 사망했다.
2022-05-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