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누리 스마트스터디 IR & 기업전략 리더
무엇보다 몸이 피로에 찌들어 있고 마음에 여유가 없으니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별것 아닌 일에도 주변 사람들에게 신경질을 부리거나 공격적인 언행이 튀어나왔다. 그 무렵의 나를 돌이켜 보면 항상 날이 서 있고 무엇인가에, 누군가에게 화가 나 있었다. 그런데 그렇게까지 일했는데도 실제로 주 120시간을 꽉 채우지는 못했던 것 같다.
사실 주 120시간이란 일부러 채워서 일하려고 해도 채우기 쉽지 않은 숫자다. 인간이라는 생물의 신체적 능력에는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넘는 순간 집중력과 생산성이 급속하게 떨어진다.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특수한 상황이라면, 몇 주 정도는 주 120시간 일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문제는 그 후폭풍이다. 그렇게 혹사한 몸과 마음, 머리가 회복되는 데에는 그만큼의, 때로는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주52시간근무제가 보편화되면서 일할 수 있는 권리, 일하고 싶은 자유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오는 모양이다. 나 개인적으로는 주 120시간에 ‘가깝게’ 일하던 기간 동안 정말 많은 것을 배웠고 그렇게 일한 경험이 나중에 큰 자산이 된 것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내가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내 경우는 어디까지나 ‘특수하고 한시적인 일회성’의 상황이었고, 그 상황이 지나간 후 비교적 한가한 시간을 가지며 그간의 체력적, 정신적 소모를 회복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일은 중요하다. 일이 목적이 될 수도 있고 일에서 얻는 개인적인 성취감도 크다. 하지만 대다수 사람에게 일이란 최소한의 경제적 보상과 거기에서 오는 일상의 안정을 얻기 위한 수단이다. 그런데 일을 하느라 몸과 마음이 상하고, 그로 인해 일상의 안정이 무너진다면 우리는 과연 왜 일을 하느냐는 물음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일을 좋아하고, 일할 수 있는 권리, 일하고 싶은 자유를 누구보다 예찬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남들보다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앞에 앉아 밤늦도록 사무실을 지키는 것이 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더이상 ‘일’의 정의가 단순한 반복 작업이 아닌 시대에, 일을 더 잘하기 위한 내공은, 일을 하고 있지 않는 시간에 쌓이는 수많은 경험과 지식의 학습에서 온다.
어차피 우리 모두가 수십년 내에 인공지능(AI)과 로봇에 대체될 운명이라면, 인간만이 고유하게 누릴 수 있는 일의 가치란, 결국 사람과 사람의 교감이 창출할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2021-08-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