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온라인 여론, 과잉대표되는가/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재학생

[2030 세대] 온라인 여론, 과잉대표되는가/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재학생

입력 2021-07-01 20:16
수정 2021-07-02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재학생
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재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의 여론이 너무 과잉대표되고 있는 것 아니냐.”

한국 사회의 여론을 논할 때 자주 접할 수 있는 말이다. 생각해 보면 맞는 말이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직접 여론을 노출하고, 이용자들은 노출된 여론을 적극적으로 전파하고자 한다. 그렇기에 커뮤니티 여론을 보다 보면 특정 연령대의 특정 성별(20대 남성, 30대 여성, 40대 남성 등)은 모두 일관되게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처럼 착각하기 좋다. 사실 해당 집단에서 커뮤니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이들의 여론은 전혀 노출되지 않는데 말이다. 특히 2012년 총선에서 실제 선거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분위기와는 전혀 다르게 나와 온라인이 세상의 전부가 될 수 없음을 깨닫게 해준 중요한 계기였다.

문제는 2012년 이후 온라인 환경이 급격한 변화를 거치면서 여론이 생성되고 확산되는 기제 자체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전 인구로 보급되면서, 과거에 중앙 통제형 미디어가 만들어 내던 국민적 여론은 점점 개인이 각자 구축하는 파편화된 미디어소비 경로들로 쪼개졌다. 그 빈자리를 채운 것이 바로 개인이 자신들에게 맞는 정보를 소비하고 또 생산하고자 찾아 들어간 커뮤니티였다. 이런 과정은 데스크톱 시대에도 이미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지만, 모바일 시대를 거치며 질적으로 다른 수준으로 진행됐다. 노년층도 커뮤니티 문화와 문법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유튜브와 팟캐스트 등, 특정 커뮤니티에서 형성된 서사에 들어맞는 정보만 공급하는 소규모 맞춤형 미디어들도 비슷한 시기에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한 번 자신이 구축한 맞춤형 미디어 경로에 들어서면 ‘듣고 싶지 않은 소리’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단톡방(단체 채팅방) 문화가 이런 온라인 고(高)관여층이 커뮤니티 여론을 온라인 저관여층으로 확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인간은 굳이 경제적 이익이 되지 않더라도 정보를 퍼트리고 주변인에게 좋은 반응을 얻는 데서도 기쁨을 얻는 존재다. 이런 이유로 커뮤니티에서 고관여층이 만들어 낸 정보와 이슈, 그리고 그와 결부된 서사와 논리가 단톡방을 타고 퍼져나갔다. 단톡방 구성원 중 하나가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면, 커뮤니티 논리에 동조하는 다수는 압력을 가해 소수의견을 바꾸게 하거나 표출하지 못하도록 만들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은 수많은 집단으로 분절화하고 파편화한 여론지형을 갖는다. 그리고 그런 커뮤니티들 중에서도, 생애경험과 사회인식을 많이 공유하는 특정 세대와 성별의 집합으로 뭉친 곳은 막강한 여론 주도력을 갖게 됐으며,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서사를 모아 자신만의 고유한 세계관을 더욱 발전시켜 나갔다. 세대와 성별을 막론하고 그런 커뮤니티 간의 여론전이 현재 대한민국의 여론지형을 형성하는 밑바탕이 되고 있다.

그러니 세상은 온라인 바깥에 있다는 상투적 비판에 다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우리의 현실에서 온라인을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가?
2021-07-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