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라라는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컴퓨터공학으로 바꾸었다. 여름방학에는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해볼 거라 했다. 하지만 처음, 우리 대화의 시작은 로마의 시인 카툴루스였다.
라라는 매일 시를 쓰고 일기를 쓴다. 열한 살 이후 무언가를 적지 않고 그냥 지나간 날은 단 하루도 없단다. 음악도 작곡한다. 프로그래밍을 배우다가 중세시대 기사(騎士) 문학을 읽기도 한다. 고향 터키의 시인들 작품을 번역해서 시집을 만들 준비도 하고 있다. 그런 라라의 더 유별스런 점은 길에서 만나는 사람 아무에게나 무턱대고 말을 거는 것, 혹은 소통이다. 나 또한 그렇게 만났다.
‘좋은 글’은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글로 옮겨질 수 있을까 고민되는 글이다. 그리고 더 좋은 글은 하고 싶은 말은 많은데, 감히 글로 다 풀어낼 수 없을 것 같은 글이다. 라라는 일테면 좋은 글감 같은 사람이다.
라라의 중심은 시다. 시인은 기다린다. 억지 부리지 않는다. 시인은 자기가 인식하는 세계를 표현할 자기만의 단어들을 천천히 안에서부터 기른다. 자기만의 관용구를 키운다. 그것이 뱃속에 쌓이고 쌓이면, 손끝으로 시가 흘러나온다. 라라 얘기다. 김수영도 산문 ‘와선’(臥禪)에서 얘기하고 있다. 기다리는 거다.
역으로 ‘제스처’는 시인을 본인 고유의 단어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제스처 곧 손동작은 과시이다. 제스처는 희극에서 쓰인다. 시는 제스처도 아니고 희극도 아니다. 생각해 보니 제스처는 문학의 문제일 뿐 아니라 사람의 문제이다. 헛된 말의 99%가 제스처이다.
내 책장에 꽂혀 있던 책들을 훑어봤다. 라라가 세운 문학기준에 못 미쳤다. 버려도 아쉽지 않았다.
번역도 얘기했다. 시를 번역할 때, 라라는 그 시를 여러 번 읽는단다. 시 구절이 아무 생각 없이 무심하게 떠오를 때까지 곱읽는다. 그러고는 시를 단숨에 번역해 버린다. 그다음 번역본의 운율, 소리와 같은 디테일을 가다듬는다. 계속 가다듬다 보면 시의 원본과 번역본이 헷갈린다. 그때 멈추는 거다.
라라는 어렸을 때부터 길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말을 걸었다. 청소부, 버스운전사, 경비원. 소녀 소크라테스다. 바닥에 떨어진 옷도 집어 보고 만져 본다. 사람에 대한 편견 없는 관심이다. 우리가 모든 것을 이미 경험해 봤다고 생각해 보라. 굳이 경험하지 않아도 된다. “천 번 죽어도 다시 태어나지 않아도 된다.” 라라의 그 마음에서 자유가 시작된다.
시적인 삶, 창조적인 삶, 어디서 들어본 말들이다. 난 눈으로 보지 않은 것은 믿지 않는다. 내 눈으로 직접 봐야 한다. 젊은 학생들과 생활하는 나는 지식이나 정보나 테크닉보다도 전해주고 싶은 것이 있다. 가치이다. 쉽지 않다. 손등이 통통한 라라가 문득 생각나는 오월 아침이다.
2021-05-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