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처음에는 그저 새로운 서비스이니 한번 이용이나 해 보자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클럽하우스에 정신없이 빠져들었다. 이전까지 텍스트로만 접하던 소셜미디어 친구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것도 신기했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만나지 못하는 현실의 친구들과 마치 옆자리에 있는 것처럼 웃고 떠드는 시간 역시 몹시 즐거웠다. 시계를 보면 몇 시간이 훌쩍 사라져 있었다.
가끔은 호기심에 낯선 이들이 만든 방에 들어가 보기도 했다. 소셜미디어의 친구도 아닌, 현실의 지인도 아닌 완전히 낯선 사람들. 그런 사람들은 과연 무슨 이야기를 하고 사는지 궁금했다. 독일이나 프랑스의 방에 들어가 알아듣지도 못하는 이야기들을 조용히 듣고 있을 때면 마치 유럽 어딘가의 카페에 앉아 있는 것 같기도 했다. 코로나 시절에 많게는 몇 천명이 한 곳에 모여 다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은 그 자체로 신기했다.
그런 클럽하우스에서 며칠 전 색다른 풍경을 봤다. 바로 ‘음악방’이었는데, 방장이 휴대전화나 여타의 기기를 통해 선곡해 들려주는 음악을 사람들이 모여서 듣고 있었다. 그전까지 경험한 어떤 방이든 다 나름의 효용과 목적이 있다고 여겼지만, 이 음악방의 존재만은 다소 기이하게 느껴졌다. 앱을 한 번 거쳐 청취하는 것이다 보니 아무래도 음질이 확연히 떨어질 수밖에 없었는데, 원하는 음악을 검색만 하면 매우 고음질로 들을 수 있는 시대에 굳이 여기까지 와서 좋지 않은 품질의 음악을 듣고 있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방에 머무는 동안 조금씩 달라졌다. 비록 좋지 않은 음질이지만 동일한 음악을 누군가와 동시에 듣고 있다는 사실이, 그 사실을 내가 알 수 있다는 부분이 묘하게도 어떤 위안을 줬던 것이다. 마치 인터넷도, 스마트폰도 없었던 아주 오래전의 언젠가 전화선을 통해 친구가 들려주는 음악을 듣고 있는 듯한 기분이었다.
그 순간 문득 영화 ‘아비정전’ 속 한 장면이 떠올랐다. ‘아비정전’에서 장국영은 장만옥에게 1분 동안 같이 시계를 보자고 청한 뒤 이렇게 말한다. “이제부터 우린 친구예요. 이건 당신이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죠. 이미 지나간 과거니까.” 어쩌면 사람들이 살면서 가장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은 누군가와 같은 시간을 공유한다는 감각인지도 모르겠다.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와중에도 그렇게 우리는 서로의 온기를 나눌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가는 중이었다.
2021-03-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