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악플러도 ‘그들의 정의’에 따라 움직인다/김영준 작가

[2030 세대] 악플러도 ‘그들의 정의’에 따라 움직인다/김영준 작가

입력 2020-08-27 17:08
수정 2020-08-28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최근에 고소를 당한 악플러의 항변을 보았다. 그 항변의 내용은 ‘실수였다. 고소를 취하해 달라. 자기 같은 힘없는 서민을 고소하다니 어떻게 연예인이 그럴 수 있느냐’였다. 어이없지만 진짜다.

악플러들이 죄의식을 가지고 악플을 다는 경우는 없다. 오히려 그 반대다. 무플보단 악플이 나으니 도와주는 거란 생각을 가진 사람들도 있고, 악플 달릴 짓을 했으니까 악플을 단다는 사람도 있다. 실제로 논란이 있었던 연예인의 인스타에서 인종차별이나 성적, 모욕적인 댓글들이 달리는 걸 읽어 보면 그런 걸로 보인다. 그러니까 적어도 악플러들의 생각으론 범죄를 저지르는 게 아니라 그럴 만한 연예인을 응징하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정말 놀라운 자기합리화다.

그러나 이게 딱히 악플러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행동경제학자인 댄 애리얼리는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이란 책을 통해 모든 사람들, 심지어 선한 사람들마저 부정행위를 저지른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서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기준은 자기합리화다. 애리얼리에 따르면 사람들은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라 여기고 있으며 이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다고 한다. 그래서 자기 합리화의 수준이 그 사람의 부정행위의 수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무단횡단은 벌금형의 ‘부정행위’ 중 하나이지만 무단횡단한다고 자신을 ‘나쁜 사람’으로 여기는 사람은 없다. 바쁘니까, 횡단보도가 이상한 데 설치돼 있으니까 등의 이유로 합리화해 죄책감 없이 곧잘 저지르게 된다. 이런 식으로 자신의 도덕적 기준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선까지 합리화를 통해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합리화는 도덕적 허가 효과를 낳는다. 도덕적 허가 효과란 도덕적인 행동을 한 경우 다음 행동에서 비도덕적인 행동을 할 확률이 높은 것을 말한다. 즉 도덕적인 행동을 통해 스스로가 좀더 도덕적이 됐으므로 그다음엔 비도덕적인 행위를 해도 괜찮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부정행위, 더 나아가 그것이 범죄일지라도 그것을 실행하는 사람들은 특별히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실행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자신이 나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자기 합리화가 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상이라 참 걱정이 된다. 누군가는 정의를 외치고 누군가는 신의 이름을 외친다. 이들의 자기 합리화는 어느 정도의 수준일까. 스스로가 틀림없다고 믿을수록 자기 합리화는 강해진다. 그래서 합리화가 만들 부정이 걱정될 수밖에 없다.

악플러들을 조사해 보면 의외로 평범한 사람들이라고 한다. 단지 그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행동이 나쁜 행동일 뿐이며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과 실제의 자신은 별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나는 스스로의 틀림을 부정하지 않는 정의나 신앙 등의 과잉 신념이 걱정스럽다. 특히나 지금은 너도나도 신념이 과해서 말이다.
2020-08-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