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흙에는 수많은 광물질과 물, 공기 등이 섞여 있다. 같은 흙이라도 서울의 흙과 강릉의 흙이 다르며, 서울의 흙이라도 서대문과 마포의 그것이 다르다. 심지어 같은 지점의 흙이라도 깊이에 따라 지하수위와 단층이 달라 구성물질도 완전히 다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구조물의 기초를 설계할 때 이 불확실요소를 고려해 ‘안전율’을 적용한다.
안전율을 적용해 혹시나 과소평가된 토압의 크기, 지하수의 불규칙한 흐름도 보완할 수 있다. 이렇게 숫자를 가지고 정량적으로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고자 하는 엔지니어들 역시 본인들이 알 수 없는 영역을 인정하고, 다소 정성적인 안전율이라는 인수를 적용해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안전한 구조물을 만든다.
그런가 하면 워런 버핏과 같은 투자의 구루들은 ‘안전마진’이란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훌륭한 가치투자자들이 이야기하는 투자의 기본은 장기투자다. 워런 버핏의 스승인 필립 피셔 역시 단기간 시장의 향방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고 이야기를 했다. 하지만 장기의 관점으로 가자면 해당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 비용 우위, 효율적 규모 등을 고려해 성공적인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다.
이때 등장하는 투자용어 중의 하나가 안전마진인데, 이는 시장가격과 평가가치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말한다. 기업가치 추정이 잘못됐을 때, 내외적인 이유로 시장 자체가 무너질 때, 예상했던 변수들이 달라질 때 안전마진은 이를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한다. 이처럼 세계적인 투자자들 역시 자신의 판단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예측 불가능한 영역을 인정한다. 공학이든 투자든 세상에는 그렇게 예측 불가능한 영역이 있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시중에 청년들을 위한 자기계발서가 많이 나와 있다. 물론 그중에는 인생을 조금 더 많이 산 사람들의 진솔한 경험도 있고, 이렇게 살라 하는 식으로 직설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도 있다. 문제는 후자와 같이 세상에 대한 너무 큰 자신감이나 확신으로 타인에게 선명한 방법을 제시하는 책들인데, 이러한 것들은 다소 경계할 필요가 있다.
인생은 학교와 달라 스스로 복기를 하며 각자 자신의 궤적을 만들어 가는 것이지 누군가 제시한 길만 따라간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모두 능력도, 직업도, 처한 환경도 다른 개인들이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세상에 대한 너무 큰 자신감이나 확신은 늘 경계할 필요가 있고, 타인에게 하는 조언은 더욱더 그러하다. 우리 삶의 안전율과 안전마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2019-07-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