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성인이라면 무릇 스스로 밥벌이를 해야 한다는 생각은 군대에 가서도 늘 나를 지배했다. 이십여 년가량 부모의 우산 밑에서 살아왔지만, 세상 속에 홀로 남겨진다면 나는 얼마큼의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존재인가에 대한 고민은 늘 해왔다. 그래서 보름가량이던 상병휴가 때도 번역 아르바이트를 했고, 말년휴가 때는 이미 면접을 보고 보습학원에 취직해 복학하기 전까지 아이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문제는 이러한 흐름이 전공공부에 여념이 없던 복학생 시절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안 그래도 따라가기 힘든 전공과목 시험준비 기간이 과외시간과 겹치면 가끔 하염없이 답답해지기도 했다. 나의 과외 장소는 늘 인천이었고 학교는 서울에 있었던지라,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하다가 과외를 하러 다녀오면 보통 여섯 시간 정도는 허비했기 때문이다. 특별히 머리가 좋은 것도 아니고, 시험기간에 남들 공부하는 시간에 돈을 벌고 오면, 또 경쟁자인 학우들을 따라가려고 새벽까지 공부해야 했다. 그렇게 새벽 별을 보며 터벅터벅 자취방에 갈 때는, 생활비를 스스로 벌어야만 했던 상황이 너무나 원망스럽기도 했다.
몇 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에 출장을 가 있을 때였다. 명함을 주고받는데, 상대방 명함의 이름 앞에 ‘Bachelor’라는 단어가 인상적이었다. 한국에서는 보통 박사 정도는 돼야 명함에 학위를 넣어 전문성을 보여 주는데, 이 나라에서는 ‘학사’도 명함에 표시하고 있었다. 궁금해서 OECD 자료를 찾아보니 이 나라의 34세 이하 성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6%에 불과했다.
대학진학률이 세계 최상위권인 한국에서는 대학 진학이 보편적 권리일지 모르겠지만, 남아공 혹은 그 이하의 저개발국가에서는 여전히 대학교육 자체가 보통 사람들은 누리지 못하는 특별한 전문가 과정일 수도 있다. 사실 한국도 1990년대 초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20% 초반에 불과했다.
얼마 전 화제가 됐던 공무원시험 준비생의 쪽지가 있다. “죄송한데 공시생인거 같은데 매일 커피 사들고 오시는 건 사치 아닐까요? 같은 수험생끼리 상대적으로 박탈감이 느껴져서요. 자제 좀 부탁드려요.” 이 쪽지를 보며 과거의 내가 떠올랐다. 같은 서울 노량진 독서실에서 공부하는 이십 대 중후반의 공시생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때, 오늘도 울산이나 여수의 공장에서 야간작업하며 하루를 살아가는 동년배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동년배들이 만약 해당 공시생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토로한다면, 그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부디 내가 누리지 못하는 것을 갈망·원망하기보다, 누리는 것도 인식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2019-03-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