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40년 전인 1978년 말, 세계를 뒤흔들 격변이 태평양 양안에서 펼쳐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앞으로 중국이 시장경제를 받아들이고 세계에 문을 열겠다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선언이었다. 두 번째는 1970년대를 거치며 속도를 더하고 있던 정보기술(IT)혁명이었는데, 1978년은 그중에서도 모뎀을 활용한 소비자 지향 온라인 서비스인 ‘더 소스’가 최초로 등장한 해였다. SF 작가 아이작 아시모프는 이를 두고 ‘정보시대가 마침내 개막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던 이 두 흐름은 서로가 서로를 강화시켜 지난 40년의 역사를 만들어왔다. 먼저 중국은 인터넷을 통해 성장했다. 압도적으로 편리해진 정보 교환으로 기업은 국경을 넘어 생산 사슬을 분절적으로 배치했다. 그 결과 수많은 산업의 제조 공정이 중국으로 이전되어 급속히 팽창하는 도시 노동자들을 흡수했다. 아마 인터넷이 없었다면 중국 수준의 규모를 흡수할 산업 이전이 일어나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동시에 인터넷은 중국을 딛고 뻗어나갔다. 첨단 기업들은 불필요한 단순 제조를 덜어내고 고부가가치 영역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덕분에 서구 사회의 소비자들은 더 품질 좋은 제품을 더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폰 하드웨어를 중국이 아니라 미국에서 생산하려고 했다면 절대로 지금과 같은 성능과 가격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이 세계화라는 연극에서 제 역할을 너무 잘 해준 덕분에 IT혁명의 전사들은 안심하고 제품 소비와 개발의 주기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40년에 걸친 개혁개방과 IT혁명의 동거는 이제 전환점에 진입한 듯 싶다. 중국은 언제까지나 빵 부스러기만 주워먹고 싶어하지 않았고, 공격적으로 가치사슬의 상위에 오르고자 했다. 미국에서는 포퓰리즘이 발흥했는데, 중국으로의 제조업 이전을 반대하는 경제적 민족주의가 핵심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로 무역전쟁은 지난 40년간의 패러다임이 전환점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을지도 모른다.
한국도 이 흐름에서 비껴갈 수는 없다. 한국의 성공이 지난 40년간의 세계화와 기술혁명에 빚지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노태우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은 각각 북방정책과 초고속 인터넷망을 추진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미국의 IT라는 트렌드를 기민하게 따라간 결정이었다. IMF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한국에 참신한 비전이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아마 많은 부분에서 1990년대에 갖춰진 비전이 굉장히 탄탄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말은 이제 새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비전을 찾을 시점이 다가온다는 의미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현명한 결정을 내릴 것인가?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난 40년의 여정도 그전 40년의 발자취를 이어가며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 40년을 대비하려면 지난 40년의 세계화와 기술혁명을 알아보는 것은 나쁘지 않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동시에 인터넷은 중국을 딛고 뻗어나갔다. 첨단 기업들은 불필요한 단순 제조를 덜어내고 고부가가치 영역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덕분에 서구 사회의 소비자들은 더 품질 좋은 제품을 더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폰 하드웨어를 중국이 아니라 미국에서 생산하려고 했다면 절대로 지금과 같은 성능과 가격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이 세계화라는 연극에서 제 역할을 너무 잘 해준 덕분에 IT혁명의 전사들은 안심하고 제품 소비와 개발의 주기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40년에 걸친 개혁개방과 IT혁명의 동거는 이제 전환점에 진입한 듯 싶다. 중국은 언제까지나 빵 부스러기만 주워먹고 싶어하지 않았고, 공격적으로 가치사슬의 상위에 오르고자 했다. 미국에서는 포퓰리즘이 발흥했는데, 중국으로의 제조업 이전을 반대하는 경제적 민족주의가 핵심 중 하나였다. 이런 이유로 무역전쟁은 지난 40년간의 패러다임이 전환점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을지도 모른다.
한국도 이 흐름에서 비껴갈 수는 없다. 한국의 성공이 지난 40년간의 세계화와 기술혁명에 빚지고 있기 때문이다. 1990년대 노태우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은 각각 북방정책과 초고속 인터넷망을 추진했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미국의 IT라는 트렌드를 기민하게 따라간 결정이었다. IMF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한국에 참신한 비전이 보이지 않았던 이유는 아마 많은 부분에서 1990년대에 갖춰진 비전이 굉장히 탄탄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말은 이제 새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비전을 찾을 시점이 다가온다는 의미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현명한 결정을 내릴 것인가?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난 40년의 여정도 그전 40년의 발자취를 이어가며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 40년을 대비하려면 지난 40년의 세계화와 기술혁명을 알아보는 것은 나쁘지 않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2018-12-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