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大)통령’이 ‘견(犬)통령’으로 나가기도 했던 시절, 권력과 권력자의 위세가 하늘을 찌르던 시절. 신문이 납활자로 인쇄돼 나오던 때였다. ‘견통령’이 돼 버린 신문은 정간되고 고초를 겪었다.
언론 매체들은 사람들을 널리 구했다. 이런 오류가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는 다짐이었다. 틀린 글자, 낱말의 발견은 물론 적절한 단어를 찾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치라고 이들에게 요구했다. 더 나은 표현을 찾고, 정보의 사실 여부까지 읽고 조정하기를 바랐다. 문서나 원고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일, 즉 ‘교열’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가치를 존중해 나갔다.
1990년대 중후반 언론 매체들은 본격적인 컴퓨터 제작 시대에 접어든다. 어문기자들을 떠나보내기 시작했다. 컴퓨터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준다는 ‘미신’을 믿고 싶어 했다.
‘일본해’라고, ‘북 대통령’이라고 잘못 표기하는 건 단순 오기의 문제가 아니다. ‘교열’의 목적과 가치를 흐려 버린 결과다. 그렇다 보니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에 구멍이 생긴다. 과정을 읽지 않고 맥락을 짚지 않게 된다. ‘기계적인 교열’을 주문하는 형태를 낳는다. 이제 인공지능이 해결해 줄 수 있다는 ‘미신’을 믿으려고도 한다.
언론 매체들은 사람들을 널리 구했다. 이런 오류가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는 다짐이었다. 틀린 글자, 낱말의 발견은 물론 적절한 단어를 찾고, 올바른 문장으로 고치라고 이들에게 요구했다. 더 나은 표현을 찾고, 정보의 사실 여부까지 읽고 조정하기를 바랐다. 문서나 원고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일, 즉 ‘교열’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가치를 존중해 나갔다.
1990년대 중후반 언론 매체들은 본격적인 컴퓨터 제작 시대에 접어든다. 어문기자들을 떠나보내기 시작했다. 컴퓨터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준다는 ‘미신’을 믿고 싶어 했다.
‘일본해’라고, ‘북 대통령’이라고 잘못 표기하는 건 단순 오기의 문제가 아니다. ‘교열’의 목적과 가치를 흐려 버린 결과다. 그렇다 보니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에 구멍이 생긴다. 과정을 읽지 않고 맥락을 짚지 않게 된다. ‘기계적인 교열’을 주문하는 형태를 낳는다. 이제 인공지능이 해결해 줄 수 있다는 ‘미신’을 믿으려고도 한다.
2019-05-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