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돈은 사람을 바꿀 수 있을까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돈은 사람을 바꿀 수 있을까

입력 2019-09-02 23:24
수정 2019-09-03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착해서 돈이 많은 게 아니라 돈이 많으니까 착한 거야.”

사람들은 영화 ‘기생충’에서 충숙의 이 대사를 돈이 가난의 주름을 펴는 다리미라는 말과 함께 명대사로 꼽는다. 이 말은 누구나 돈만 많으면 착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는 점에서 대중에 대한 위로 혹은 아부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사실 여기에는 보다 깊은 의미가 숨겨져 있다. 바로 돈에는 인간의 외면을 넘어 내면까지도 바꾸어 주는 힘이 있음을 말하기 때문이다.

물론 돈이 그 사람에게 여유를 준다는 사실을 부정할 이는 없을 것이다. 영화에 나오듯 돈이 많은 이들은 타인의 노동을 돈으로 사는 일에 더 적극적이며, 그 과정에서 흥정과 같은 불필요한 노력을 굳이 기울이지 않는다. 또 ‘착하다’를 타인에게 무언가를 베푸는 이타적 행위로 정의할 경우 여유가 있는 이들에게 그런 기회는 더 많이 찾아올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돈이 정말로 사람을 착하게 만드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그렇게 간단하게 답하기는 어렵다.

바로 이 질문의 가장 밑바닥에는 사람은 바뀌는가, 그리고 사람이 변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 있기 때문이다. 이 질문은 인간의 본성과 양육의 효과에 관한 뿌리 깊은 논쟁으로까지 연결된다. 이 질문은 학교를 비롯한 모든 교육, 교정 시설이 인간의 변화를 가정하고 희망하며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진보와 보수의 입장이 때로 판이하게 달라진다는 점에서 정치적인 질문이기도 하다.

물론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무관하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간이 변화할 수 있기를 바랄 것이고, 또 그렇게 말할 것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행하는 가르침과 꾸중, 충고와 조언, 상과 벌은 모두 이러한 시도에 속한다. 그러나 그 반대쪽 끝에는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에 대해 고개를 끄덕이고 ‘좋아요’를 누르는 우리의 모습이 있다.

아마 처음 질문에 대해 조금이라도 근접한 답을 찾자면 사람들을 임의로 선택해 부자로 만든 뒤 그들의 이타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적하는 실험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실험은 현실에서 가능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학자들은 우연히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찾아 그 효과를 조사하는 자연 실험에서 힌트를 얻는다.

잘 알려진 연구 중에는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을 추적한 연구들이 있다. 복권 당첨자는 거의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매주 나오며 지난 수십년간의 기록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매우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연구의 결과는 대체로 복권 당첨이 사람들의 행복감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반대로 교통사고로 두 다리를 잃은 사람들에 대한 연구도 존재한다. 이들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이 원래 느끼던 삶에 대한 만족도로 돌아갔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데 한 표를 던지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때때로 대중문화가 던진 질문에 대해 다른 대중문화에서 깊은 통찰이 담긴 대답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미국의 최장수 프로그램으로 올해로 30년째 방영 중인 심슨 가족의 한 에피소드에서 심슨의 할아버지는 손녀 리사 심슨에게 이렇게 말한다.

“아가야, 돈은 사람을 바꿀 수 없단다. 그들의 본모습을 찾는 것을 도울 수 있을 뿐이지.”
2019-09-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