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 문제에 있어 손쉽게 개선할 수 있는 인간의 본능적 비합리성이 하나 존재한다.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물론 이 실험에 대해 다른 의견도 존재한다. 아이가 참지 못했던 것은 참을성 부족이 아니라 어른의 말을 믿지 못하는 불안정한 환경의 경험 때문이라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그 아이는 확실한 현재의 하나와 불확실한 미래의 두 개 사이에서 확실한 현재의 하나를 택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비합리적 선택이 되었다. 사실 이런 현상은 아이들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당장의 5달러와 한 달 뒤의 10달러를 선택하게 한 실험에서 많은 이들이 눈앞의 5달러를 택했다. 이는 ‘미래 할인’이라는 개념으로 알려진 인간의 대표적 비합리성이다. 인간이 현재에 비정상적으로 큰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이 오류는 ‘현재지향 편향’이라고도 불린다.
우리의 모든 선택이 현재를 넘어 미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 비합리성은 인간에게 매우 치명적인 단점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진화는 어떤 이유로 이런 판단기제를 만들어낸 것일까. 다시 마시멜로 실험으로 돌아가자면, 바로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진화 과정에서 인간은 훨씬 더 불확실한 미래를 경험했다. 동굴에 사는 인류의 조상에게 지나가는 외지인이 미래의 무언가를 약속했을 때 이를 받게 될 가능성은 얼마나 되었을까.
무엇보다도 몇 달이나 몇 년 뒤 자신이 살아 있을 가능성은 얼마나 되었을까.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인간은 불확실한 미래보다 확실한 현재를 더 중요하게 여기게 됐을 것이다. 여느 인간의 본능과 마찬가지로, 이런 판단기제는 그때는 맞았고 지금은 틀리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본능적 비합리성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바로 이웃과 사회, 국가를 믿을 수 있고, 몇 달, 몇 년 뒤에도 상당히 높은 확률로 내가 살아 있을 것임이 분명한 오늘날, 보다 먼 미래의 나에게 유익할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5년마다 돌아오는, 단일 사건으로는 우리가 속한 집단의 앞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그 결과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내린 선택의 합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그 선택이 합리적일수록 모두의 앞날은 밝아질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각 후보가 어떤 계층을 대변하며, 누구의 이익을 우선하는지를 중요한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아직 여기에도 미처 이르지 못했다. 이 기준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인이나 친족의 유익을 구할 이를 뽑아서는 안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어떤 정책이 누구에게 이익이 되는가를 넘어 보다 먼 미래의 우리에게 어떤 장기적 효용을 제공하는지를 고려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오십년. 백년 뒤의 대한민국을 이야기하는 후보를 보고 싶다.
2017-04-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