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일본 나고야대학과 도요타자동차가 중심이 돼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 경찰관서는 물론 지역사회 노인들까지 참여해 고령화 사회에서 노령자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이동기술 개발 연구에 지난 5년간 800억원을 투입했다. 자율주행차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는 노령층을 배려하지 않고 기업과 공학기술자들만으로 만들어진 자율주행 시스템은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시스템이 실제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경찰기관의 규제 개선도 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순한 행정조치가 아닌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한 결과에 기반했기 때문에 추가 연구개발로 발전시킬 수도 있고, 사회적으로 확산시키기도 더 용이하다.
초학제연구가 정착하려면 풀어야 하는 과제들이 많다. 현재는 많은 연구결과물이 논문의 형태로만 평가를 받고 있으나, 사회적 도전과제는 그 영향력도 평가해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학문적 속성을 잘 모르는 이해당사자들과의 소통이다. 연구의 세 주체 중 하나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 많은 교육과 소통도 필요하다. 앞으로 이러한 복잡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도 초학제연구를 장려할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를 다룰 후속세대들을 교육할 전문적 교육과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과거 학문은 문제에 호기심을 갖고 있는 연구자가 도출한 발견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었다. 이 때문에 연구생태계도 개별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이들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대학과 연구기관들도 그에 맞춰 구성돼 있었다. 그러나 이런 대학과 연구기관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계속되고 연구 결과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연구기관도 사회문제 해결형으로 유연하게 재조립돼야 할 것이다. 어렵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50년 전의 연구결과에 의해 받는 노벨상에 대한 관심보다는 20년 뒤 인간사회를 걱정해야 할 때이다.
2020-11-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