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교훈은 분명하다. 지금의 여러 기술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는 기술과 관련해서는 미래에 똑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리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과학기술정책과 미래연구의 결합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미래연구는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나아가 미래의 대안을 개발하는 데 관심을 둔다. 과학기술 로드맵은 미래 예측 중 하나지만 과학기술에 국한되고 사회 제도와 관련된 미래 연구와의 접점은 약한 것이 사실이다.
과학기술이 사회 속에서 사용되면서 생기는 변화 예측과 대안 마련을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사회가 결합된 시스템에 대한 미래연구가 중요하다.
최근 생산과 수요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특히 전기자동차에 대해 생각해 보자. 2008년에 테슬라가 스포츠카 형태의 ‘로드스터’를 처음 출시한 이래 전기자동차는 빠른 속도로 친환경 미래자동차 시장의 주류가 됐다. 지금 속도라면 10년쯤 뒤에는 도로 위의 자동차 절대 다수가 전기자동차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미래사회를 잠깐만 생각해 보면, 성능이 떨어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어떻게 처리하나, 혹시 플라스틱 산처럼 거대한 배터리 더미를 안고 살게 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이미 전문가들은 배터리 재활용과 재사용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남은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사용하고 재사용이 어려운 배터리는 분해해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 희귀금속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방안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은 물론이고 배터리 수거, 재활용·재사용 제도, 비용 부담 주체 등과 관련된 여러 정책과 제도가 체계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폐기되는 배터리 외에도 사용량이 증가할 전기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방안, 충전 인프라 확대 방안 등도 고려돼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20~30년 뒤에 ‘친환경 자동차의 배신’, ‘배터리 오염 심각’ 같은 뉴스를 보게 될지 모른다. 친환경 미래 교통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미래연구가 정책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을 것이라 믿는다.
2021-07-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