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유레카] 경계에 서는 것이 융합의 시작

[이은경의 유레카] 경계에 서는 것이 융합의 시작

입력 2021-04-19 20:38
수정 2021-04-20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비대면 수업이라서 동영상 시청인 줄 알았어요.”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지각한 학생의 항변이다. 학교에서는 방역지침이 강화되자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한다는 공지문을 학생들에게 보냈다. 비대면 수업 2년차인 2학년 학생의 변명이라기엔 좀 궁색하지만 아주 일리 없는 말은 아니다.

비대면은 대면의 반대말이다. 대면은 글자 그대로 하면 서로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이지만 같은 공간에 있다는 뜻을 포함한다. 이전에는 같은 공간이 아니면 대면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굳이 공간을 말할 필요가 없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강의실에 모이지 않는다는 내용을 전하느라 비대면 방식이란 말을 써도 대부분 뜻이 전달된다. 이것이 공지문을 보낸 사람의 관점이다. 그러나 대학 생활을 코로나와 함께한 2학년 학생에게 공간은 온ㆍ오프 공간 중 하나, 즉 대면 방식의 옵션 중 하나일 뿐 비대면을 뜻하지는 않을 수 있다. 둘 사이에는 기술 경험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세상을 보는 우리 인식에 질서를 주었다. 근대과학의 성공은 물질과 정신을 구분하고 물질세계의 모든 현상이 변치 않는 법칙에 따라 질서 있게 움직인다는 것을 밝혀낸 데 있다. 근대과학의 세계관에서 흔히 만나는 명쾌하고 단순한 질서는 이분법이다. 우리의 인식 체계 속의 많은 범주들, 예를 들어 물질과 정신, 자연과 인공, 생물과 무생물, 인간과 사물, 남자와 여자, 삶과 죽음의 구분에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었다. 근대과학은 그러한 질서의 근원과 같이 궁극적인 질문을 종교나 형이상학의 영역으로 돌렸다. 대신 법칙 파악이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물질세계에 집중함으로써 근대과학은 산업혁명과 이후 이어진 놀라운 과학기술 성과를 낳는 기초가 됐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최근 더 많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간과 사물 또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는 점점 더 흐려졌다. 인공지능과 로봇은 점점 더 인간을 닮아가고 인간은 점점 더 많은 기계장치를 이용해 감각과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SF 작가들은 일찌감치 이분법에 상관없이 경계에 선 존재들을 상상했다. 엔지니어들은 그런 존재들을 현실에서 구현 중이다. 보통사람들의 인식은 과학기술을 통해 구분의 경계에 서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변화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얼마 전 서울 한 기초자치단체장이 맞춤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에게 반려로봇을 보급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사전에는 반려의 뜻이 ‘짝이 되는 동무’로 나온다. 반려 관계는 주종, 상하 관계가 아니라 서로 돌보는 동무 관계다. 오랫동안 사람에게 반려자는 사람이었지만 반려동물, 반려식물로 범위가 확대됐다. 그러므로 인공지능과 센서를 탑재하고 외로운 어르신들과 살갑게 대화할 수 있다면 인형의 탈을 쓴 기계라 하더라도 반려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기계와 동무하는 경험이 처음인 어르신들에게 시간이 필요할 뿐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분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근대과학의 세계관과 잘 맞는 질서였을 뿐이다. 현대 과학기술은 그 질서를 넘는 세계를 만들고 우리는 그 세계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분법의 경계에서 이쪽이냐 저쪽이냐를 놓고 고심할 필요 없다. 과학기술이 만든, 경계 위에 서는 경험, 경계를 넓혀 나가는 경험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이 태도가 그토록 강조되는 융합의 시작이다.
2021-04-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