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비대면은 대면의 반대말이다. 대면은 글자 그대로 하면 서로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이지만 같은 공간에 있다는 뜻을 포함한다. 이전에는 같은 공간이 아니면 대면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굳이 공간을 말할 필요가 없었을 뿐이다. 그러므로 강의실에 모이지 않는다는 내용을 전하느라 비대면 방식이란 말을 써도 대부분 뜻이 전달된다. 이것이 공지문을 보낸 사람의 관점이다. 그러나 대학 생활을 코로나와 함께한 2학년 학생에게 공간은 온ㆍ오프 공간 중 하나, 즉 대면 방식의 옵션 중 하나일 뿐 비대면을 뜻하지는 않을 수 있다. 둘 사이에는 기술 경험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세상을 보는 우리 인식에 질서를 주었다. 근대과학의 성공은 물질과 정신을 구분하고 물질세계의 모든 현상이 변치 않는 법칙에 따라 질서 있게 움직인다는 것을 밝혀낸 데 있다. 근대과학의 세계관에서 흔히 만나는 명쾌하고 단순한 질서는 이분법이다. 우리의 인식 체계 속의 많은 범주들, 예를 들어 물질과 정신, 자연과 인공, 생물과 무생물, 인간과 사물, 남자와 여자, 삶과 죽음의 구분에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었다. 근대과학은 그러한 질서의 근원과 같이 궁극적인 질문을 종교나 형이상학의 영역으로 돌렸다. 대신 법칙 파악이 가능하고 조작 가능한 물질세계에 집중함으로써 근대과학은 산업혁명과 이후 이어진 놀라운 과학기술 성과를 낳는 기초가 됐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최근 더 많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간과 사물 또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는 점점 더 흐려졌다. 인공지능과 로봇은 점점 더 인간을 닮아가고 인간은 점점 더 많은 기계장치를 이용해 감각과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SF 작가들은 일찌감치 이분법에 상관없이 경계에 선 존재들을 상상했다. 엔지니어들은 그런 존재들을 현실에서 구현 중이다. 보통사람들의 인식은 과학기술을 통해 구분의 경계에 서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변화하고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분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근대과학의 세계관과 잘 맞는 질서였을 뿐이다. 현대 과학기술은 그 질서를 넘는 세계를 만들고 우리는 그 세계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분법의 경계에서 이쪽이냐 저쪽이냐를 놓고 고심할 필요 없다. 과학기술이 만든, 경계 위에 서는 경험, 경계를 넓혀 나가는 경험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이 태도가 그토록 강조되는 융합의 시작이다.
2021-04-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