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구 편집국 부국장
우리 근·현대사에서 시민은 주변으로 밀려나고 배제됐다. 친일파는 영리영달을 좇아 나라를 팔았고, 정치 군인들은 4·19 혁명의 민의를 쿠데타와 유신으로 억눌렀다. 군사 정권에 반대한 광주 시민들의 민주화 투쟁은 유혈 진압을 맞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외친 촛불은 이윤과 자유무역을 앞세운 공권력에 막혔다. 무도한 권력과 천민자본주의가 사람의 가치를 침탈한 족적들이다.
사람을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이성과 정의가 만발하고 부조리와 모순이 사그라지기 마련이다. 사람의 가치보다 권력의 독선이, 공동체의 안전보다 자본의 탐욕이 앞선 사회에서 국민은 객체와 타자에 머물 뿐이다. 통치의 대상, 이윤의 수단으로 전락한다. 적폐라면 이것이 적폐다. 비정상이라면 국민의 안전을 중히 여겨야 한다는 목소리를 억누르는 권력, 그것이 비정상이다. 대가는 참혹하다. 대형 참사가 날 때마다 민심은 또 다른 비극을 염려하고 위기를 경고했지만, 권력은 통치이고 자본은 이윤일 뿐, 소통과 양심은 없었다. 그 틈새로 환부는 살아남았다. 살아서 세월호를 수장시키고 어린 생명들을 앗아갔다. 때문에 세월호 참사는 일그러진 사회가 잉태한 명백한 타살이다. 역사의 교훈을 무시한 몰가치와 비상식의 범죄행위다. 특정 개인과 집단에만 죄를 물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오로지 희생자의 입장에서 죽음을 바라봐야 한다. ‘모두의 공동책임’이라는 전지적 관점이나 씨날로 얽힌 권력과 자본의 구조적 모순을 직시하지 않는 제3자적 논리는 참상의 근원과 본질을 묻어버리는 책임 회피와 자기 변명에 불과하다. 권력과 자본이 사람의 가치를 외면하면 어떤 희생이 따르는지, 그 부조리한 구조의 뿌리와 줄기를 자라나는 세대에게 낱낱이 가르치고 사람다움의 가치를 공유해 나가야 한다. 복지와 경제민주화의 공약은 어디로 갔는지 묻고 따질 일이다. 슬퍼하되 좌절하지 않고 분노하되 망각하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다.ckpark@seoul.co.kr
2014-05-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