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와족 거주지가 윈난성에서도 가장 낙후된 지역이 되었던 이유를 바로 그 장대가 설명해 준다. 와족이 오랜 세월 동안 전승해 온 ‘머리 사냥’(獵頭) 습속 때문이었다. 사람의 머리를 베어 제사를 지내면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다니, 그 얼마나 무서운 습속이었겠는가. 사람들이 와족의 거주지 근처에 가기를 꺼렸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1950년대까지 그 습속이 남아 있었다고 하니, 어쩌면 가장 최근까지 남아 있던 오래된 주술적 믿음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와족이 사는 미얀마 국경 산악지대는 참으로 척박하다. 메마른 붉은 산에서 기를 것은 좁쌀뿐이고, 간혹 밭벼를 기를 수 있다. 일 년의 절반 동안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산지에서 화전을 하며 살았는데, 인간의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을 때 주술적 힘에 기댈 수밖에 없었다. 머리카락이 검고 길며 구레나룻이 풍성한 남자의 머리가 사냥꾼의 사냥 대상이었다. 다른 부족이나 적들이 그 표적이었다. 머리를 베어 마을 입구에 세워 놓은 장대에 걸어 놓고, 거기서 흘러내린 피에 곡식의 종자를 적셔 밭에 뿌리면 길고 풍성한 머리카락처럼 곡식이 무성하게 자란다고 생각했다. 자라난 곡식을 베는 행위와 머리를 베는 행위의 유사성에서 비롯된 ‘머리 사냥’은 그야말로 오래된 주술인데, 와족 거주지뿐 아니라 인근 미얀마에도 이런 습속은 있었다.
그들이 하필 ‘머리’를 택한 이유는 있다. 검고 긴 머리카락이 곡식의 풍요를 가져다 준다는 주술적 믿음 탓이지만 무엇보다 그들은 머리에 ‘영험한 힘’(靈力)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적의 머리일지라도 일단 베어 마을로 갖고 오면, 그 머리 자체에 영험한 힘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머리는 마을의 수호신이 된다. 주민들은 베어 온 머리를 향해 제사를 지내며 노래를 불렀다. “머리가 잘린 당신이 안타깝다”고 하면서도 “이왕 이렇게 된 것, 우리가 잘 모실 테니 우리의 수호신이 되어 달라”고 했다. 하지만 생존에 대한 와족의 욕망이 아무리 간절했다고 해도, ‘머리 사냥’은 주술 시대의 폭력이었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많은 청년이 죽어 가고 있다는 가슴 아픈 소식이 들려온다. 강선우(웨 노에 흐닌 쏘)의 글에 따르면, 청년들은 대부분 ‘머리’에 조준 사격을 당했다고 한다. 군인들에게 머리를 조준해서 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는 것인데, 그 명령이 군부와 밀착 관계에 있는 주술사들에게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21세기에 주술사들이 움직이는 권력이라니, 도무지 믿을 수 없지만 미얀마 군부세력과 주술사들의 유착 관계는 일찍부터 알려져 왔다.
권력의 정통성이 없는 자들이 주술적 힘에 의지하는 것은 고금을 막론하고 똑같으니 놀랄 일은 아니지만, 그 주술이 하필 청년들의 ‘머리’ 조준이라니 너무나 야만적이다. 머리에 영험한 힘이 깃들어 있다는 그 지역인의 믿음이 군부의 극단적 폭력 행위로 이어졌으니 그것이야말로 21세기의 ‘머리 사냥’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미얀마 민중의 힘으로 어둠의 주술을 걷어내고, 민중에 깃든 자연신 ‘낫’(Net)을 재소환해 빛의 세상이 속히 도래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2021-03-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