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그런데 이번에는 말벌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해 보려 한다. 요즘 ‘장수말벌’에 대한 보도가 자주 보인다. 아시아 출신의 ‘살인 말벌’이 미국에 들어왔다며, 우주인 복장 같은 하얀 방호복을 입고 숲속에서 말벌 퇴치에 열을 올리는 장면이 그것이다. 장수말벌이 다가오면 “드론 소리가 들린다”는 사람도 있으니, 분명 곤충계의 무시무시한 포식자일 터, 그 정체가 궁금하여 논문들을 찾아봤더니, 역시나 대단했다. 집단공격이라는 사냥전략을 취하는 장수말벌 삼사십 마리가 몇 시간 만에 수만 마리의 꿀벌을 없앨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런 후에 꿀벌들이 힘들게 날갯짓을 하여 모아 놓은 꿀과 유충들을 탈취해 가니, 그야말로 벌 세계의 최강자이며, ‘절대 악’이라 하겠다. 게다가 최근에는 도심의 공원에도 장수말벌들이 나타나 사람들을 쏘는 사건이 일어나곤 하니, 그의 악명은 높아만 가고 있다.
하지만 그를 ‘절대 악’이라고 규정짓기는 힘들다. 숲의 썩은 나무나 땅밑에 집을 짓고 살아가던 장수말벌이 도심의 공원에 나타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먹이 부족과 말벌의 서식지 파괴와 연계돼 있다. 꿀벌의 ‘군집붕괴현상’은 말벌의 공격보다는 살충제와 제초제 때문에 일어난다. 게다가 장수말벌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충들을 먹어 치우기 때문이다. 농약을 장수말벌의 몸에 발라 놓으면, 벌집으로 돌아간 장수말벌이 다른 말벌들을 죽게 만들 수 있기에 유용한 말벌 퇴치법이지만, 말벌이 모두 죽으면 생태계 균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런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단다. 그러니 어쩌란 말인가.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없는 양가적 감정의 대상, 그가 바로 장수말벌이다.
생각해 보면 동아시아 신화의 세계에도 ‘절대 악’이나 ‘절대 선’은 없다. 대부분의 창세신화에는 대립하는 창세 신이 등장한다. 세상을 누가 관장할 것인가를 두고 벌이는 전쟁이나 내기에서 빛의 신이 최후의 승리를 거두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를 ‘선’이라는 도덕적 개념과 동일시할 수는 없다. 투쟁에서 패배한 어둠의 신 역시 ‘악’을 대표한다고 보기는 힘들다. ‘빛’과 ‘어둠’은 평행선을 그리며 나란히 공존할 뿐이다.
그래서 제주도 신화에 나오는 ‘명진국따님애기’도 아기를 점지해 주는 삼승할망의 역할을 맡게 된 뒤에, 내기에서 패배해 심통이 난 ‘동해용왕따님애기’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잘 달랜다. 삼승할망이 꽃을 가져다주어 세상에 태어난 아기들이 백일이 되면 백일 상을 차려줄 테니, 그것을 받아먹고 아기들을 건드리지 말라고 말한다. 그런 후,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게 된 아이들의 영혼을 거두는 저승삼승할망의 역할을 맡긴다. 송이송이 번성꽃을 피운 명진국따님애기가 내기에서 이겨 아이들을 점지해 주는 삼승할망이 되고, 시들시들 검뉴울꽃을 피운 동해용왕따님애기가 내기에서 져 저승삼승할망이 되지만, 그들을 각각 ‘선’과 ‘악’으로 가를 수는 없다.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두 명의 신은 각각의 세계에 나란히 존재할 뿐이다.
신화의 세계처럼 자연계도 그러하니, 장수말벌이 ‘살인자’ 취급당하면 좀 억울할 법하다. 너무 미워하지 말자. 장수말벌도 인간처럼 자연계의 한 구성원이니. 누가 알겠는가, 장수말벌의 그 강력한 독침에서 치유의 물질을 찾아낼지.
2020-11-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