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제주도의 진안할망과 아기업개, 그리고 ‘폭력’

[김선자의 신화로 문화읽기] 제주도의 진안할망과 아기업개, 그리고 ‘폭력’

입력 2019-05-20 17:26
수정 2019-05-21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제주도 성산읍 수산리에는 조선시대에 쌓은 성벽이 있다. 자주 출몰하는 왜구를 막고자 쌓은 성이라고 하는데, 그 오래된 성벽에는 슬픈 이야기가 서려 있다. 성벽을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여자아이를 제물로 바쳤다는 것이다. 당시 성벽을 쌓을 때 마을 사람들이 불려나가 일을 했는데, 남편을 잃은 여인이 홀로 아이 다섯을 키우며 살다 보니 성벽 쌓는 곳에 부역을 제공할 여력이 없었다. 하필 그때 성벽이 자꾸 무너져 내렸고, 지나가던 승려가 그곳에 ‘처녀제물’을 바치면 성벽이 튼튼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리들은 홀어머니의 막내를 탐냈고, 결국 여섯 살 여자아이는 ‘처녀제물’이 돼 성벽 쌓는 곳에 바쳐졌다. 홀어머니를 위해 그것을 막아 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후 성벽은 튼튼하게 완성됐지만, 밤마다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려왔고, 관리들을 비롯한 마을 사람들의 마음이 편치 않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곳에 ‘진안할망당’을 만들고 아이의 영혼을 위로해 주는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여기 ‘할망당’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서 ‘할머니’를 모신 곳이 아니다. 제주도 신화에서 ‘할망’은 ‘여신’의 다른 이름이니 ‘진안할망당’은 ‘수산진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 여신을 모신 신당’이라는 뜻이다. 진안할망당을 만든 이후 가장 먼저 그 당에 가서 기도를 했던 사람들은 이례적으로 남성들이었다고 하니, 성벽을 위해 ‘처녀제물’을 바쳤던 그들의 죄책감 때문이었으리라.

한편 제주도 대정읍 마라도에는 ‘업저지’(아기업개)에 관한 가슴 아픈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아가 된 어린 소녀를 어떤 부인이 거두어 길렀다고 하는데, 그 부인이 아이를 낳으면서 소녀는 아기를 돌보는 업저지가 됐다. 그 소녀가 부인 가족과 함께 마라도에 갔는데, 사람들이 배를 타고 돌아오려는 순간 풍랑이 심하게 일었다. 그런데 부인의 꿈에 신이 현현해 ‘처녀제물’을 바쳐야 바다가 잔잔해질 것이라 했고, 계시를 받은 부인은 어쩔 수 없이 ‘업저지’를 제물로 바치기로 암암리에 결정했다.

전승에 따르면 부인이 아니라 물질을 하러 마라도에 갔던 잠녀(해녀)들이 그렇게 결정했다고도 하지만, 이야기의 결말은 같다. 배가 떠나기 직전 부인이 업저지에게 기저귀를 걷어 오라고 해놓고 그냥 배를 타고 떠나 버린 것이다. 마라도에 홀로 남겨진 가엾은 소녀는 나중에 유골로 발견됐다 하고, 사람들은 ‘처녀제물’이 된 소녀를 위해 ‘아기업개당’을 만들어 영혼을 위로해 주었다고 한다.

제주도에 전해지는 두 명의 ‘처녀제물’에 관한 이야기는 당시 사람들이 처했던 절박한 상황과 그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어린 소녀를 제물로 선택해야 했던 사람들의 불안한 심리를 잘 보여 준다. 이야기에는 왜구의 거듭되는 침입 앞에서 생존을 위해 단단한 성벽을 쌓아야만 했던 마을 사람들의 절박함, 풍랑이 거듭 되는 외딴섬에서 반드시 벗어나야만 한다는 강박 심리가 잘 반영돼 있다. 제주도의 열악했던 환경이 배경에 깔려 있는 이야기들인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하필 어린 소녀들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가 없다. 저항할 능력이 없는 어린 소녀, 강한 힘을 가진 아버지나 오빠가 없는 외롭고 고단한 소녀만이 제물로 선택됐다. 소녀들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거대한 ‘폭력’이다. 소녀들이 죽은 뒤에 강한 힘을 보여 주는 신이 돼 할망당의 주인이 됐다고 해도 그것은 그들이 겪은 고통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보여 줄 뿐이다. 마을이나 잠녀들의 수호신으로 좌정하여 많은 사람들을 너그럽게 품어 주고 있는 그들에게 고통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을까.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리 사회에 일상으로 일어나는 폭력 사건의 대상자가 주로 ‘약자’라는 통계가 나왔다. 기댈 곳 없는 ‘약자’들에게 발현하는 ‘폭력’이 그저 신화적 사건으로만 그치기를 바라는 것은 과연 이루어질 수 없는 희망인가.
2019-05-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