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자 연세대 중국연구원 전문연구원
바로 직전에 중국의 쓰촨성에서도 산불 때문에 30여명의 소방관이 희생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지역은 해발고도 3000미터 이상의 산들이 즐비한 곳인지라 불이 나면 사람의 접근이 어려워 희생이 더 컸던 것 같다. 높은 산들 사이에 자리한 넓지 않은 평지에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기에 그곳의 소수 민족들에게 불은 따뜻함과 재앙을 동시에 가져다주는 존재이다. 그래서 그들은 불과 빛을 찬미하는 제의를 거행하지만, 동시에 불의 요괴를 마을에서 몰아내는 제의도 거행한다.
한편 한반도 북부에 자리잡은 만주 지역에는 남북으로 무려 1200킬로미터에 달하는 다싱안링(大興安嶺)산맥이 있다. 만주 평원과 몽골 초원을 갈라 주는 다싱안링산맥의 드넓은 삼림은 일찍부터 사람들을 품어 주었고, 많은 민족이 그곳에 기대어 살아갔다. 그런 다싱안링산맥에 1987년 5월 6일 중국 정부가 들어선 후 가장 큰 규모의 산불이 일어났다. 헤이룽장성 최북단에 있는 모허(漠河)에서 몇 명의 인부가 기계 조작 과정에서 불을 냈고, 잔불을 확실히 처리하지 않아 시작된 산불은 무려 한 달여간 지속됐다. 공식적으로 6월 2일에야 겨우 잡힌 산불은 200여명이 넘는 희생자를 냈다.
지금도 모허 일대의 자작나무나 소나무 줄기가 굵지 않은 것은 화재 이후에 새로 심었기 때문이다. 현지에 가면 아직도 ‘5·6 대화재’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지역 주민들의 기억 속에 그 사건은 여전히 각인돼 있다.
다싱안링산맥 일대에서 수렵을 하며 살아왔던 시보족은 청나라 건륭제 시절에 ‘새로 개척한 땅’인 신장(新疆)으로 이주를 당해 일부가 지금도 신장위구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그들의 시조 신화를 보면 ‘시리마마’라는 여신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시보족 마을의 남자들이 모두 수렵을 하러 나가고, 마을에는 ‘시리’라는 이름의 소녀와 늙은 아버지가 남아 아이들을 돌보고 있었다. 그때 불의 요괴가 쳐들어와 마을과 숲을 불태우는 바람에 아이들의 생명이 위태롭게 됐다. 시리마마는 백두산의 산신을 찾아가 방도를 알려 달라고 했고, 산신은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게 해주는 ‘옥 허리띠’를 천신이 갖고 있다고 말해 주었다. 용감한 시리는 천신의 옥 허리띠를 빌려다가 그것을 차고 불 속으로 뛰어들어 불의 요괴와 싸워 마침내 아이들과 마을을 지켜 냈고, 이후 시리는 시보족의 수호 여신 ‘시리마마’로 추앙받게 된다.
이 이야기가 화산 폭발 혹은 다싱안링산맥의 산불과 관련된 것이라는 설명들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불의 요괴를 퇴치하는 것이 결국 인간의 용기와 강인한 의지라는 점이다. 만주 지역에 전승되는 신화에서 여신들은 대부분 말을 타고 활을 쏘는 강한 존재로 등장한다. 쌍칼을 들고 마을의 침입자들을 물리치는 타라이한마마, 활의 여신으로 여겨지는 둬룽거거 등 여신들은 언제나 위기에서 마을과 자신의 자손들을 지켜낸다.
쓰촨의 산지와 마찬가지로 만주에서도 불은 높은 산지에서 살아가던 그들을 따뜻하게 지켜 주었다. 그래서 불의 여신은 주로 자애로운 할머니 여신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때로 불은 그들 마을공동체를 위협하는 요괴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는 불이 갖고 있는 양면성에 대한 묘사라 하겠다.
신화 속의 시리마마처럼 속초 산불에서 마을과 사람들을 지켜 낸 분들께 깊은 존경의 마음을 전하며, 소방공무원법이든 뭐든 소방관들을 위한 실질적 정책이 조속히 확정돼 불길 속에서 그들을 지켜 줄 수 있는 마법의 ‘옥 허리띠’를 부여받게 되길 바란다.
2019-04-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