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 산책] “속이지 말라!”는 홍의장군 곽재우의 일갈

[백승종의 역사 산책] “속이지 말라!”는 홍의장군 곽재우의 일갈

입력 2017-07-02 17:42
수정 2017-07-03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는 붉은 옷을 입고 싸웠대서 홍의장군이란 별명으로 이름이 났다. 의병장 곽재우가 누구인가? 그로 말하면 임진왜란 때 왜적에 빌붙어 나라를 배신한 공휘겸의 목을 벤 의인이었다. 또 관군이 맥을 쓰지 못할 때 경상도 남쪽 끝에서 의병을 일으킨 사람이다. 의병장 곽재우는 전라도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왜군을 몰아냈다. 바다에 이순신이 있었다면 뭍에는 곽재우와 같은 의병장들이 있어 전라도와 충청도의 백성들이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그러나 왜군이 채 물러나기도 전에 선조는 무고한 의병장들을 역모 죄로 엮어 죽이기 시작했다. 1596년 8월 호랑이도 맨손으로 때려 잡았다는 의병장 김덕령이 억울하게 죽었다. 선조와 기득권층은 국난의 어려움 속에서도 권력욕을 불태우느라 여념이 없었다. 실망한 곽재우는 산속으로 숨었다.

1608년 한 차례 세상이 바뀌었다.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했다. 왕은 전쟁만은 재발하지 않게 막아야 한다고 확신했다. 국가 재건의 의지를 불태우는 광해군에게는 곽재우처럼 충성스런 신하가 필요했다.

그러나 왕이 부르고 또 불러도 곽재우는 올라가지 않았다. 그는 병을 이유로 사직 상소를 올렸다. 다급해진 광해군은 관복과 말까지 내려보내며, 곽재우의 상경을 재촉했다. 곽재우는 임금의 성의에 감복해 서울 길을 서둘렀다.

도성에 들어온 곽재우는 조정의 분위기를 냉정하게 살폈다. 안타깝게도 그가 일할 수 있는 조정이 아니었다. 나라를 망친 어제의 기득권층이 가득한데 무엇이 달라지겠는가. “임금을 속이지 말라.” 곽재우는 의욕적인 새 임금의 눈과 귀를 가린 채 사익 추구에 여념이 없는 조선의 기득권층을 향해 비판의 칼날을 세웠다. 추상같은 그의 목소리가 조정을 뒤집어 놓을 듯했으나, 이변은 없었다. 곽재우는 벼슬을 헌신짝처럼 내던지고는 발길을 서둘러 가야산 속으로 총총이 사라졌다.

곽재우의 말대로 신하가 임금을 속이는 것은 중대한 문제다. 오늘날의 임금은 그 옛날의 백성이다. 헌법에 명시된 것처럼 나라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을 포함해 모든 공직자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공공의 일꾼이다. 재벌, 국회의원, 판사, 검사 등 전문직의 역할도 다르지 않다. 이들 가운데 감히 국민의 뜻에 거스르는 이가 있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말이다.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런 사람들이 많았다. 학식이 있고 재물이 많은 사람들 중에 그런 사람이 유독 많았다. 그들은 현란한 수사를 동원해 사익을 챙기는 데 누구보다 재능이 앞섰다. 이 세상을 혼탁하게 만든 것이 바로 그들이었다.

곽재우가 살았던 16~17세기의 조선 사회는 암울했다. 학벌을 자랑하는 선비의 시대가 열렸으나, 청렴하고 진실한 선비들은 조정에 나갈 수가 없었다. 그들은 있지도 않은 병을 구실 삼아 역사의 무대 뒤로 숨어 버렸다. ‘조선왕실록’에서 ‘칭병’, 즉 병을 핑계 삼았다는 말을 검색해 보면 무려 658개의 기사가 뜬다. ‘칭병’은 양심적인 개인이 불의한 세상에 맞서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하는 수단이었다. 염치도 없이 서로 나 잘났다고 뽐내는 요즘 세태와는 거리가 먼 옛날 이야기다.

내 말은 무조건 옛날이 좋았다는 것이 아니다. 거의 날마다 신문지상을 어지럽히는 그 잘난 정치가들의 억지스런 주장을 따라가기에 신물이 난 터라 홍의장군 곽재우의 맑은 웃음소리를 잠깐 동안 떠올려 보았다.
2017-07-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