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의 역사 산책] 저승길에서 만난 하서 김인후

[백승종의 역사 산책] 저승길에서 만난 하서 김인후

입력 2017-04-09 23:08
수정 2017-04-10 0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사후 세계에 대한 궁금증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오죽하면 ‘임사체험’ 곧, 죽었다가 되살아난 사람들의 경험담을 토대로 한 진지한 연구가 다 있는 것일까. 16~17세기의 탁월한 지식인 허교산(許蛟山·허균) 또한 흥미로운 임사체험의 글을 남겼다. 정확히 말해 그는 오세억이라는 선비의 경험담을 기록했다(‘성소부부고’ 제25권, 제26권). 하양(경북 경산)에 살던 오세억은 젊은 나이에 죽었다가 되살아났다.

허균이 쓴 글에는 그것이 반나절 만이라고도 했고, 또 사흘 만이라고도 했다. “꿈결처럼 하늘나라(天府)에 갔다. 붉은 옷을 입은 저승사자가 나를 작은집(小院)으로 이끌었다.” 허균은 그 집에 대해 쓰기를, ‘자미지궁’(紫微之宮)이란 현판이 붙어 있었다고 했다. 누각이 우뚝 솟아 난새와 학이 훨훨 날았다고도 했다.

바로 그 집에 윤건(綸巾)을 쓴 학사 한 명이 있었단다. 김하서(金河西·김인후)였다. 망자 오세억은 생시에 하서와 안면이 있었다고 했다. 그 하서가 조용히 말했다. ‘그대는 올해에 하늘에 오름이 합당치 않도다. 세상에 나가 행실을 닦기에 더욱 힘쓰라’ 그랬다던가. 그때 하서는 죽은 이들의 이름이 적힌 붉은 명부를 뒤적이며 “자네는 이번에 잘못 왔네. 나가야겠네그려” 하였다던가. 새하얀 비단 옷을 몸에 걸친 하서는 오세억을 이승으로 돌려보내며 한 편의 시를 주었다고 했다.

“세억, 자네의 이름 자는 대년일세(世億其名字大年)/ 문 밀치고 들어와 자미선(하서)을 찾으셨구려(排門來謁紫微仙)/ 일흔일곱 살이 되거든 또 만나세(七旬七後重相見)/ 부디 인간 세상에 돌아가 이 말씀 함부로 퍼뜨리지 마시기를(歸去人間莫浪傳).”

다시 살아난 선비 오세억은 그 사연을 노소재(盧蘇齋·노수신)에게 알렸다. 생전의 하서는 소재와 막역한 사이였기 때문이다. 이후 오세억은 행실이 더욱 돈독해져 효자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하서의 시에 적힌 대로 일흔일곱 살이 되자 어느 날 갑자기 세상을 떠나갔다고 했다. 김하서가 누구인가. 그는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이퇴계(이황)와 더불어 당대 최고의 성리학자로 손꼽혔다. 그리하여 훗날 문정(文正)이란 시호를 하사받았고, 문묘에 배향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그에게는 도가의 선인과 같은 풍모가 있었다. 일찍이 퇴계는 하서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그는 중년에 ‘황정경’ 곧, 도가의 서적에 몰입했다.” 조선의 선비들은 하서의 외모를 말할 때면 ‘옥골선풍’(玉骨仙風)이라 하였으니 도가풍의 미남자가 분명했다.

허균은 하서의 일생을 다음의 몇 줄로 요약했다. “하서 김인후는 인품이 높고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스스로 터득함이 있었음에도, 일찍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하였다. 인묘(인종)는 동궁 시절에 그를 인재로 여겼다. 왕위에 오르자마자 하서를 가장 먼저 불러들였다. 그러나 그가 서울에 도착하자 곧 승하하였다. 하서는 고향으로 되돌아갔고, 그 뒤 조정에서 여러 번 불렀지만 나오지 않았다.” 하서는 평일에 도가풍이 물씬한 시를 썼다. “오기는 어디로부터 왔던가(來從何處來)/ 가기는 또 어디로 가는가(去向何處去)/ 가는 곳도 오는 곳도 정한 곳이 없다네(去來無定蹤)/ 유유한 세월이랬자 백년 남짓일 뿐이네(悠悠百年許).”

선비들은 은연중에 하서의 뜻에 공감하였던 것일까. 오세억은 저승길에서 하서를 만났다고 주장했고, 노소재와 허교산도 고개를 끄덕였으니 하는 말이다.

오늘의 우리는 모진 세상 풍파를 헤치며 어디로 가는 것일까.
2017-04-1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