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희령 소설가
도로를 건너면 아파트 상가를 양쪽에 낀 사각형 공간이 나타난다. 넓기는 넓은데 또 그렇게 넓지는 않고, 분명 사람이 오고 가는 길인데도 그냥 서성이는 사람들이 많다. 작은 광장이라고 할 수 있을까. 사각형의 오른쪽 귀퉁이에 전기 카트를 세워 놓고 유산균 음료를 팔던 중년 여성이 전동 휠체어를 타고 지나가는 초로의 남성에게 묻는다. “아저씨, 어디 가요?” “나? 아무 데도 안 가는데?” 상가 화단을 등지고 놓인 벤치에 앉아 있던 할머니들이 두 사람을 멀뚱히 바라본다.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등이 바뀌길 기다리는 순간부터 내 눈은 길 건너편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를 그녀를 찾고 있었다. 생뚱맞게 빨간 장미 넝쿨이 우거져 있는 울타리 근처 아니면 상가 화단 바로 옆 중국단풍 나무 아래에서 보따리를 펼쳐 놓은 채 푸성귀가 담긴 바구니들을 늘어 놓고있을 그녀를.
작년 이맘때 처음 그녀를 보았다. 흔히 말하는 연예인급 미모인 젊은 여성이 길가에 상추, 열무, 아욱 같은 채소들을 펼쳐 놓고 앉아 있었다. 예쁜 사람은 채소 장사를 하면 안 된다는 법은 없지만, 나도 어쩔 수 없이 세상에 떠돌아다니는 온갖 고정관념에 물든 사람이라 ‘저런 미인이 왜?’라는 생각을 하고야 말았다. 그리고 살 생각도 없으면서 괜히 그녀 앞에서 걸음을 멈추고 열무 한 단 가격을 물어보았다. “이거, 삼천원.” 그 순간 그녀의 짙은 눈썹과 커다란 눈망울이 매우 ‘이국적인’ 외모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날 근처에 있는 대형 식자재 할인 매장에 들러 열무 한 단 가격을 확인해 보았다. 가격은 똑같았으나 싱싱함에서는 그녀의 열무를 따라갈 수 없었다.
겨우내 보이지 않던 그녀가 얼마 전 다시 나타났다. 밭에서 정신없이 푸성귀를 뜯기 시작할 즈음이다. 이제 사흘에 한 번쯤 그녀에게 상추를 살 수 있다. 아무래도 마트에서 파는 채소보다는 밭에서 직접 딴 채소가 훨씬 싱싱하다. 시골에서 농사를 접고 도시로 올라온 뒤 마트에 진열된 대파나 상추 같은 것을 보면 한숨이 나왔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풀기가 싹 가신 모습이 도무지 입맛을 돌게 하지 않는다.
“이거 직접 농사지은 거예요?” 상추를 비닐봉지에 담아 주는 그녀에게 내가 짐짓 물어본다. “네. 농사예요.” “어디에서요?” “법곶. 저기, 대화동.” 쑥갓도 한 봉지 달라고 말하면서 잠시 내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어느 나라에서 왔냐고 물어볼까. 엉거주춤 그녀가 내미는 쑥갓 봉지를 받으며 막 입을 떼려는 찰나 어디선가 할머니 한 분이 나타나 외쳤다. “애기 엄마! 저기 갔다 올 동안 이것 좀 맡아줘.” 무엇인가가 잔뜩 들어 있는 할머니의 카트가 그녀의 짐보따리 옆에 세워진다.
검정 비닐봉지를 들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뭔가 큰 깨달음을 얻은 것 같다. 아, 그렇구나. 그냥 애기 엄마면 되는 거구나. 머릿속에서 분주하게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은 아닌 것 같고?’ 하던 내가 부끄럽다. 고유한 개성을 지닌 사람들을 하나로 뭉뚱그려 애기 엄마나 아줌마로 부르는 게 무례하다고 느꼈다. 그런데 그게 꼭 그런 것만도 아닌 거다. 지나다니며 이따금 상추 한 봉지 사면서 그녀에게 지나친 관심을 쏟은 것이 오히려 무례했을지도 모른다.
집에 와서 상추를 씻다 보니 푸른 것들 사이에 빨간 장미꽃잎이 한 장 섞여 있다. 그녀의 얼굴이 떠오른다. 아무리 생각해 봐도 거짓말처럼 예쁘다. 흥, 예쁜 것만 기억하는 치사한 세상.
2021-06-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