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 소셜미디어랩 기자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다 보면 ‘디지털 문법’에 익숙한 구독자들의 반응이 흥미로울 때가 있다. 처음에 유튜브 채널 ‘은기자의 왜 떴을까TV’를 개설하고 가장 놀라웠던 사실 중 하나는 구독자들의 성향이 한눈에 파악된다는 점이었다. 이전에는 내가 쓰는 기사를 누가 어느 정도까지 보는지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유튜브에서는 콘텐츠를 시청한 성별과 연령대는 물론 어느 국가에서 많이 봤는지까지 분석이 돼 나왔다.
이를 통해 영상에서 다룬 콘텐츠나 스타의 팬덤과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 브레이브걸스의 인터뷰 영상은 남성 시청자가 90%를 넘었고, 35~54세 시청자가 76.8%를 차지했다. 유튜브에 군부대 공연 댓글 모음 영상이 화제를 모으며 삼촌팬들을 확실히 모은 결과다. ‘미스터트롯’의 김호중이나 장민호의 경우는 60세 이상 여성 시청자의 비율이 100%에 가까울 정도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새로운 감각의 ‘뉴 트롯’이 신중년 팬덤을 꽉 잡았다는 이야기다.
국가별 분석도 흥미롭다.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 출연한 배우 안효섭 인터뷰는 국내 시청자의 비중이 38%밖에 되지 않는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스페인 등 해외 팬들은 영상에 직접 자국어로 자막을 달아 가며 시청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펜트하우스 시즌3’에 주석훈 역으로 출연 중인 김영대 인터뷰는 16%가 해외 시청자였고 13~24세까지의 시청률이 56.6%에 달했다. 드라마가 국내외의 10~20대 젊은층에게도 반향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한 단절의 시대, 전 세계인들은 뉴미디어를 통해 사회와의 끈을 놓지 않고 이어 가고 있다. 이제 우리는 어떤 디지털 감수성을 가지고 어떻게 소통하느냐가 중요해진 시대에 살고 있다. 코로나 장기화로 많은 사람들이 관계 단절로 인한 고립감을 호소한다. 비록 직접 만날 수는 없지만 ‘디지털 교류’만큼은 소외받는 계층 없이 자유롭고 충분하게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렇게라도 소통을 포기하지 않고 마음을 이어 가는 것이 ‘뉴노멀’ 시대에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 아닐까.
2021-07-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