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on] 영국 커피하우스와 한국의 직장 문화

[서울on] 영국 커피하우스와 한국의 직장 문화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4-07-15 01:00
업데이트 2024-07-15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세기 중반 영국의 ‘커피하우스’는 사람들이 모여 커피를 마시는 장소 이상이었다. 커피하우스에선 1페니만 내면 커피 한 잔과 함께 낯선 이들과 탁 터놓고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계층도 불문했다. 잡담과 신변잡기는 물론 경제, 정치, 시사와 학문까지 다방면의 토론을 토대로 주식거래, 보험산업과 같은 혁신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커피하우스는 이후 영국을 이끈 계몽주의의 산실로 작용했다.

‘상호 존중’의 자세는 커피하우스 혁신의 주춧돌이었다. 손님들의 눈에 잘 띄는 벽에는 큰 글씨로 인쇄된 ‘커피하우스 규칙’이 붙어 있었다. 신사, 상인 등 계층과 지위를 막론하고 무례하게 굴어선 안 된다는 내용이었다. 욕설을 내뱉었다간 돈을 추가로 내야 했고, 다툼이 일면 먼저 싸움을 건 사람이 커피를 사야 했다. 큰 소리로 다투는 건 일절 금지됐다. 대화에 끼기 위해선 진지하면서도 냉철한 자세를 기본 소양으로 갖춰야 했다. 높은 지위의 사람에게 자리를 내어줄 필요도 없었다. 각계각층 사람들이 수많은 갈등과 마찰을 겪으면서도 건설적 대화를 쌓으며 혁신을 일궈 낼 수 있었던 배경이다.

300여년 전 영국의 커피하우스는 ‘직장 내 괴롭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우리나라에 ‘대화의 기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운다. 직장 내 괴롭힘은 궁극적으로 폐쇄적인 소통 구조와 상호 존중의 부재에서 비롯된다. 우리나라 특유의 ‘까라면 까라’ 식 상명하복 문화 속에서는 상사와 부하 직원이 수평적 관점에서 솔직한 대화를 나누기 어렵다. 괴롭힘 문제가 발생하면 상사 눈치만 보면서 쉬쉬하며 덮기 때문에 갈등이 초기에 해결되지 못하고 문제가 더 커지기 십상이다.

상호 존중의 자세 역시 먼 얘기다. 특히 직장 내 폭언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 고용노동부의 ‘2022년 직장 내 괴롭힘 금지제도 실태조사’를 보면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중 폭언은 약 35%를 차지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직접 당하거나 목격했다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복수 응답)한 결과에서도 폭언은 61.4%로 따돌림·험담(49.7%), 차별(19.8%) 등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직장에서 갈등이 발생했을 때 건설적인 대화로 차근차근 풀어내지 못하고 그저 감정적인 욕설을 퍼부으며 부하 직원을 찍어 누르는 쌍팔년도식 사고의 한계가 여실히 드러난 결과다.

사실 기업 내에서 갈등 자체는 그다지 나쁜 게 아니다. 갈등은 가라앉아 있던 문제를 표면으로 끄집어낸다. 깊이 있는 논의를 거쳐 기업을 더욱 생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로 작용한다. 갈등이 잘만 관리되면 위대한 혁신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 그 과정에서 상호 존중의 자세를 토대로 한 ‘대화의 기술’이 필요할 뿐이다. 사내 갈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혁신은커녕 ‘직장 내 괴롭힘’으로 골머리를 앓는 우리나라의 많은 직장들이 아직도 300년 전 영국의 커피하우스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누구나 수평적으로 대화하되 철저히 예의를 갖추는 ‘커피하우스 규칙’을 되새겨볼 때다.

김성은 기획취재부 기자

이미지 확대
김성은 기획취재부 기자
김성은 기획취재부 기자
2024-07-1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정부가 다음달 초 나이가 적을수록 국민연금 보험료를 덜 내고, 기금 고갈 시점은 현재보다 30년 늦출 수 있는 연금 개혁안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보험료율(현재 9%) 인상 목표가 제시되면 장년층은 매년 1% 포인트씩 올리고, 청년층은 매년 0.5% 포인트씩 인상해 목표 도달까지 걸리는 기간을 달리하는 방식입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