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선 전국부 기자
서울 종로구 돈의동 쪽방촌 주민 A씨는 무료로 쪽방 주민의 구강건강 관리를 해 주는 치과인 ‘우리동네구강관리센터’에서 마취 주사를 맞은 채 몰래 집으로 돌아갔다고 했다. 치료 도중 피가 많이 날까 봐 두려워 화장실에 가겠다고 거짓말을 하고 자리를 피했다. 며칠 지나 동네에서 치과 의사와 마주쳤고, 자신을 붙잡고 꼭 다시 오라고 하는 그의 말에 용기를 내 치과를 찾았다. 임플란트도 하고 틀니도 새로 맞춘 그는 치아 상태가 좋아지면서 밥도 잘 먹고 살도 좀 쪘다고 했다. 그는 담당 의사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며 울먹거렸다.
강서구의 한 보호 작업장에서 운영하는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일하는 발달장애인 B씨는 일할 때 손님을 만나는 순간이 가장 좋다고 했다. 카페에서 일하기 전엔 낯도 많이 가리고 소심한 성격이었던 그는 커피를 제조하고 손님을 응대하면서 성격이 180도 바뀌었다며 웃어 보였다. 손님들이 자신이 만든 커피와 카페에서 파는 빵이 맛있다고 할 때마다 ‘으쌰으쌰’ 일할 힘을 얻는다고 했다. 2011년부터 그가 한 일터에서 끈기를 가지고 근무할 수 있도록 지탱한 힘은 손님이라는 말이었다.
은둔 청년 C씨는 성북구의 한 고립·은둔 청년 지원 기관에서 또래 청년들과 공동생활을 하며 ‘함께하는 것의 소중함’을 느꼈다고 했다. 강박장애와 우울증으로 8년간 은둔한 그는 공부도, 운동도, 일도, 노는 것도 혼자 하는 것에 익숙했다. 그러던 그가 이젠 혼자 있으면 외로워서 안 되겠더란다. 그는 누군가와 같이 있는 게 편하고 행복하다며 앞으로도 다른 이들과 함께 지내고 싶다고 했다. 별다른 꿈도 없이 삶을 자포자기했던 그는 자신도 누군가에게 ‘함께’의 힘을 알려주고 싶다는 소망도 가지게 됐다.
결국 사람을 지탱하는 건 사람이다. 누군가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조건 없이 건강을 보살피는 것도, 어떤 이가 직업인으로서의 자부심과 존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기운을 북돋는 것도, 세상과 연결 고리를 끊은 사람을 밖으로 한 걸음 나올 수 있게 격려하는 것도 사람의 힘이다. 교과서에나 나오는 순진한 이야기라고 할지도 모른다. 요즘처럼 타인을 생각하는 마음이 귀해진 상황에선 여전히 되뇔 만하다고 생각한다. 매달 1만~2만원씩 10년간 꼬박 모은 200만원을 경제 상황이 어려운 학생들이 공부를 이어 갈 수 있도록 써 달라며 기부한 80대 기초생활수급자의 사연은 어김없이 우리의 마음을 울리지 않던가.
희망은 결국 우리 안에 있다. 이타심만큼 얼어붙은 사회를 녹일 수 있는 게 또 있을까. 내 주변 사람의 작은 눈짓과 몸짓에서 고통과 소망을 읽어 내는 것,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해 그를 돕는 것, 그것이야말로 새해를 앞두고 품기에 적절한 다짐이 아닐까 싶다. 평년보다 포근한 세밑이다. 내년엔 서로를 살리는 따뜻한 해가 되길 바라 본다.
2023-12-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