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찬 탄소중립위원회 기후변화위원장
건물에서는 냉방, 가전, 조명, 환기 등을 위해 전기를 소비하는데 이런 간접 배출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1억 2710만t이다. 이를 합하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인 1억 7920만t이다.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정부는 ‘제로 에너지 건축’과 ‘그린 리모델링’ 유도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270만t을 줄일 계획이다. 제로 에너지 건축은 에너지 자립률에 따라 20% 이상인 5등급부터 100%인 1등급으로 분류된다.
공공 부문 건물은 2030년 에너지 자립률 60% 이상인 3등급 이상을, 민간 부문의 500㎡ 이상 건물은 5등급을 만족해야 한다. 또 건물의 간접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은 가전제품과 기기 사용을 통해 210만t을 감축하고, 스마트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을 도입해 20만t을 감축할 계획이다.
그러나 하드웨어만으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순 없다. 건물 안에서의 생활도 ‘녹색’이 돼야 한다. 난방온도를 1도 낮추는 것으로 연간 130㎏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에어컨 사용을 1시간 줄이면 연간 17㎏의 온실가스가 줄어든다.
또 ‘가전제품 사용 줄이기’로 34㎏, ‘물 아껴쓰기’로 24㎏, ‘분리배출’로 22㎏, ‘대기전력 차단’으로 13㎏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이러한 녹색 생활이 지켜지면 2030년 90만t의 온실가스가 줄어들게 된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에너지가 줄줄 새는 노후건물이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30년 이상 된 267만동의 건물이 있다. 이런 건물을 대상으로 전면적으로 에너지 진단을 실시하고 그린 리모델링을 서둘러야 한다. 등급에 따라 10~30% 건축비가 더 들어가는 제로 에너지 건물을 늘리기 위해서는 전기차 구매 때 보조금을 주는 것처럼 취득세 감면, 용적률 상향 등의 인센티브 제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낭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임과 동시에 건축경기 활성화를 통한 녹색 성장도 기대해 볼 수 있다. 1석 3조인 셈이다.
건물의 탄소중립 모델로 ‘노원EZ센터’(http://www.ezcenter.or.kr/)를 추천한다. 이곳은 태양광과 지열 시스템으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화석연료 제로 단지다. 실제 121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에너지 제로를 가능하게 한 콘크리트 및 단열재, 3중 유리창, 열교차단 제품, 열회수 환기장치 등 8가지 소재 및 기술을 만날 수 있다. 이제 건물뿐 아니라 ‘에너지도 디자인’하는 시대가 됐다.
2022-09-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