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선거와 도참설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선거와 도참설

입력 2020-04-05 17:20
수정 2020-04-06 03: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4·15 총선이 다가오고 있다. 표면적으론 ‘공명선거’를 외치지만 이렇다 할 정책 대결은 온데간데없이 상대를 깎아내리는 네거티브 공방만 무성하다. 상대의 아픈 곳을 들추어내 소금 뿌리기에 열을 올리는 모습은 그래도 양반이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애니메이션이나 유튜브 방송의 사생결단식 네거티브 공방은 선거의 도를 넘어선 지 오래다.

옛날에도 상대를 흠집내거나 관심 끌려는 구호나 슬로건이 없었던 건 아니다. 소위 도참설(국가의 흥망성쇠와 인물의 출현에 대해 은어적이고 비유적으로 예언한 설)이 그것이다. 그래도 거기엔 애교나 예언, 징조와 같은 은유적 품격이 있었다. 삼국시대 말 ‘백제는 만월, 신라는 초승달’이라 해 백제는 망하고 신라는 흥한다고 했다. 만월은 곧 기우니 쇠망을, 초승달은 점점 커져 만월이 되니 성함을 뜻한다.

도참설은 왕권이 약해지고 권신들의 반란이 끊이지 않았던 고려 중기와 고려말에 성행했다. 개성 땅은 지기(땅의 기운)가 다해 망할 것이라는 ‘개성 지기쇠왕설’이나 고려 왕씨의 집권은 12대로 끝난다는 ‘용손십이진설’(龍孫十二盡說), 왕조의 성씨가 이씨로 바뀐다는 ‘경유십팔자설’(更有十八子設) 등이 그것이다. 개성의 지기쇠왕설은 천도론의 부각으로 “한양은 장차 이씨가 도읍할 땅이다”라고 한 참설이 널리 퍼지자, 조정에서는 이씨의 왕기를 누르기 위해 한양에 이씨를 상징하는 오얏나무(李)를 심어 놓고 무성해지면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을 시켜 베어 버리곤 했다. 또 왕은 1년에 한 번 반드시 한양 땅을 밟고 지금의 경복궁 터에 임금의 옷인 용봉장을 묻어 한양의 지기와 이씨의 왕기를 누르고자 했다.

도참설은 고려 말 이성계의 조선 개국을 합리화하기 위해 더욱 널리 유포됐다. 심지어 꿈을 이용하기도 했다.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 꿈을 꾸었는데 ‘닭 여러 마리가 일시에 울 때 다 쓰러져 가는 집에 서까래 세 개를 지고 들어가는데, 꽃이 떨어지고 거울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무학대사의 해몽이 걸작이다. “여러 집의 닭이 일시에 함께 운 것은 고귀위(高貴位)로 높고 귀한 자리에 오른다는 뜻이요, 서까래 세 개를 진 것은 왕(王) 자요, 꽃이 떨어진다는 것은 열매가 생김이고, 거울이 떨어질 때는 당연히 소리가 나니 왕이 될 징조라고 했다.

또 한번 꿈속에서 어떤 사람이 찾아와서 지리산 바위 속에서 얻었다는 책을 바치며 책 속에 ‘목자가 돼지를 타고 내려와서 다시 삼한의 지경을 바로잡는다’라는 글귀가 있다고 했다. 이를 풀면 목자(木子)는 이(李=木+子) 자로 이씨 성의 이성계를 가리킨다. 돼지 저(猪)는 을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돼지해인 을해년에 태어나 왕위에 오른다는 뜻이다. 이성계가 태어난 해가 바로 을해년 돼지해이다. 이성계는 꿈속의 예언처럼 조선을 건국했다.

고려 때 서운관에 간직한 비기 중 하나인 ‘구변진단지도’에도 ‘건목득자’(建木得子)라는 글귀가 나온다. 즉 나무를 세워 아들을 얻는다는 것이다. 목자(木子)를 조합하면 이(李)가 되며 반대로 풀면 십팔자(十+八+子=李)로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이 왕이 된다는 뜻이다. 이를 십팔자위왕설(十八子爲王設)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서거정의 ‘필원잡기’와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 전해온다.

참설은 왕조 변혁기나 정적을 물리치고 사회가 어지러울 때 민심을 회유하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됐다. 태조 이성계 역시 도참설을 유포해 고려의 멸망과 새 왕조의 탄생을 암시하면서 민심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었다. 도참설은 정치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사회가 제 기능을 잃거나, 경제가 도탄에 빠져 민중의 심리가 불안해질 때 나타난다.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전대미문의 창궐 속에서도 이를 바로잡을 구세주와 같은 인물 출현의 갈망이 곧 오늘날 선거가 아니겠는가.
2020-04-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