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홍 전국부 기자
동행목욕탕이 기존 쪽방촌 지원사업과 다른 점은 주민들을 쪽방촌 밖으로 끌어낸다는 점이다. 한여름이나 한겨울, 민간기업이나 시민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일회성 구호물품이나 경제적 지원은 쪽방촌 안에서 맴돌고 끝이 난다. 하지만 동행목욕탕은 쪽방촌 주민이 목욕권을 쓰기 위해 직접 목욕탕에 가야 한다. 쪽방촌 주민들이 쪽방촌에서 보지 못했던 다른 지역 주민들과 함께 탈의실에서 옷을 벗고 같은 탕에 몸을 담가야 비로소 지원 사업이 완성된다. 지난해 서울시가 동행목욕탕 사업을 처음 실시했을 때 이러한 동행목욕탕 사업의 차이점으로 인한 의문이 하나 있었다. 동행목욕탕 사업에 참여하는 업주들이 어떻게 쪽방촌 주민들을 선뜻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위생에 취약한 쪽방촌 주민들이 목욕탕에 자주 오게 되면 오히려 다른 손님들의 발길을 끊게 만들지 않을까 하는 우려였다.
지난해부터 동행목욕탕 사업에 참여하고 올해부터 한파 밤추위대피소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는 서현정 동남사우나 사장도 “사업 시작 전에는 불안했다”고 인정했다. 서 사장은 “술을 많이 마시고 오거나 불결한 위생 상태가 다른 손님들에게 불편을 주는 것은 아닌지 걱정했다”면서 “사회에 봉사한다는 마음과 코로나19로 어려웠던 시기에 조금이나마 매출에 도움이 될까 하고 시작했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약 11개월이 지난 지금 그의 생각은 다르다. 그는 “처음에 술을 마시고 오던 쪽방촌 주민이 이제는 목욕탕에 오기 위해 그날만큼은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하더라”면서 “동행목욕권 외에 사비로 직접 정기 목욕권을 구매해 지금은 가족 같은 단골이 된 분도 있다”고 웃었다. 복지 사업이 수혜자 스스로의 변화를 이끌어 낸 셈이다.
동행목욕탕 사업은 쪽방촌 주민들을 우리 생활 반경 안으로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사업이다. 쪽방촌 안에 머물게 하지 않고 밖으로 나와 다른 이들과 교류하도록 만든다. 이 작은 차이가 제대로 된 목욕시설도, 온수도 나오지 않는 쪽방촌에서 지내던 주민이 사비를 털어 매주 목욕탕을 찾아오도록 만들었고, 쪽방촌 주민을 받아도 될지 고민하던 목욕탕 사업주에게는 쪽방촌 주민도 단골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을 바꾸도록 만들었다.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예산의 숫자와 물량이 아닌 현장에서 바라보는 세세한 관심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의미다.
서 사장은 “동행목욕권으로 오는 손님들에게는 일회용 면도기나 샴푸 하나라도 더 챙겨 준다. 계속 오시라는 의미”라고 했다.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내 8개 동행목욕탕에서 사용된 동행목욕권 수는 2만 2777장, 한미약품으로부터 지난해 서울시가 지원받은 예산은 5억원이다.
2024-01-2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