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석 정치부 차장
모차르트의 인기작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마술피리’는 21세기의 젠더 갈등을 예고라도 하듯 모계사회와 부계사회의 대립이 이야기의 큰 축을 이룬다. 악과 밤의 세계를 상징하는 ‘밤의 여왕’과 대립하는 ‘자라스트로’는 지혜와 낮의 세계를 이끄는 남성 현자다. 그는 자신이 다스리는 신성한 전당에서는 복수가 없다며 “사람들은 서로 사랑하고 원수는 용서를 받는다”고 노래한다.
같은 시기 작곡한 ‘티토 황제의 자비’에서는 남성 군주의 자애가 더욱 노골적으로 그려진다. 이 작품은 제목 그대로 티토 황제가 자신을 시해하려 했던 일당을 모두 용서하고 풀어 주는 자비를 베푼다는 내용이다. 티토 황제는 자신의 친구이자 총애받던 신하에서 암살자로 변심한 세스토를 향해 “진실한 후회와 뉘우침은 더욱 간단하다. 흔들리지 않는 충성심”이라며 용서를, 즉 특별사면을 내린다.
모차르트가 왜 자라스트로와 티토 황제와 같은 남성 지도자상을 생애 마지막 작품에 비중 있게 투영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티토 황제의 자비’의 경우 당시 왕위에 오른 레오폴트 2세의 대관식을 위해 쓰여졌다는 점에서 다분히 왕을 찬양하기 위한 의도가 엿보이지만, 새로운 군주가 백성들에게 자비로움을 보여 주기를 바라는 기대를 담고 있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이 지도자에게 자애로움을 바라는 것은 마찬가지인 듯하다. 어느 시대나 백성은 나라님이 자신들의 억울함을 들어주고 공감해 주기를 바라며, 나아가 죄가 있다면 사해 주기를 바라기도 한다. 전제정치 시대의 유물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나라들이 국가원수의 사면권을 인정하는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사면은 최첨단의 현대사회에서도 국가지도자의 초법적인 자비심이 필요한 영역이 여전히 존재함을 방증하고 있다.
지도자의 메시지도 국민과 눈높이를 맞출 때 힘을 발휘한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 라디오 연설을 통해 미 국민들을 어루만진 루스벨트 대통령의 노변담화, 2차 세계대전 당시 가족·친구들과 헤어져야 했던 아픈 경험을 공유하며 “그럼에도 우리는 다시 만날 수 있다”며 영국 국민을 위로했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코로나19 대국민 연설 등은 지도자의 공감 능력과 자애로움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를 보여 주는 사례들이다.
취임 100일(8월 17일)을 맞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모습도 지도자의 자애로움이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는 힘이 되는 반면 반대의 경우는 오히려 리스크가 됨을 보여 준다. “우리 모두는 광주시민”이라는 5·18 기념사로 오월의 아픔을 어루만질 때 국민들은 공감하며 지지를 보냈지만, 도어스테핑에서 불통의 모습을 보일 때 국민들은 국가지도자로서 그의 자질을 의심하며 곧바로 돌아섰다.
국민 아픔에 공감하고, 상대 진영의 주장에도 귀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 줄 수 있었던 많은 기회를 윤 대통령은 너무 쉽게 놓쳐 버렸던 게 아니었을까. 자라스트로의 자애, 티토 황제의 자비는 21세기 한국의 대통령에게도 여전히 필요한 덕목이다.
2022-08-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