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여자라서, 엄마라서 행복해요’라고 말할 날까지/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옴부즈맨 칼럼] ‘여자라서, 엄마라서 행복해요’라고 말할 날까지/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입력 2015-06-30 23:34
수정 2015-07-01 0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서울신문 5월 11일자에 ‘女 보는 눈 바꿔야 국가경제가 산다’라는 제목의 기획 시리즈가 문을 열었다. 그 첫 번째 기사는 ‘맞벌이는 ‘맞살림’도 의미해야 한다. 맞벌이 여성들은 고개를 젓는다. 맞벌이로 경제적 여유를 얻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외살림’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는 더 피폐해졌다’로 시작한다. 20~5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거의 65%를 넘었으니 (30대만 60%가 안 되는 58.5%인데, 여기에 속하지 않은 여성 중에 양육으로 인한 경단녀는 또 얼마나 많을까) 대한민국 여성 100명 중 65명은 ‘더 피폐해졌다’는 말을 진심으로 통감했을 것이다. 이 65명 중에 싱글의 비율이 적잖을 거라고 백번 양보해도 그렇다.

직장맘들에게 맞살림만 다급한 문제일까. 어쩌면 가사 노동의 절대량보다 더 시급한 건 아이를 봐 줄 사람이다. 직장맘에게 아이가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돌아온 이후부터 엄마가 퇴근하기 전까지의 시간은 공포다. 아이를 키우는 기쁨은 그 시간들을 맡아 줄 사람을 구하느라 머리를 쥐어짜고 전화기를 돌리는 힘든 기억에 밀린다. 남편이나 친척이 조금이라도 협조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그 누구도 엄마처럼 처절히 고민하지도, 그 시간들을 책임지지도 않는다. 오죽하면 수많은 직장맘들이 대책도 없이 경단녀의 길을 자처할까.

육아 문제로 일을 그만두는 실력 있는 편집자들을 여럿 보았다. 메르스 때문에 휴교 조치가 취해졌을 때, 오죽하면 직장맘인 나는 ‘휴교 동안 아이들은 누가 맡아 주나’ 그 생각부터 들었다. 연차 한 번 쉬고 싶을 때 내본 적 없이 늘 아이의 학교일정에 맞추어야 했던 내 경험이 저절로 그런 생각을 떠올리게 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자리가 없어서 아예 못 보내는 엄마들은 또 어찌해야 하나. 아직도 한참 어린 아이를 온종일 맡아 줄 사람을 구하거나 자신이 직접 돌보아야 하는 여성에게는 하루라는 시간 전체가 막막할 수도 있다. “아이 기르는 비용을 국가에서 적극 지원하겠다. 0~5세 보육은 국가가 책임지겠다”라는 말이 도대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정부나 정치인들은 상상이나 할 수 있었던 것일까.

임신을 하고, 아직 아이가 세상 밖으로 나오지도 않았지만 그로 인해 직장에서의 위치를 걱정하고, 육아휴직의 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인 여성들은 또 어떤가.

계속 생각하다 보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연령에 따라 어쩌면 그렇게 여성의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가 싶다. 맞살림, 보육정책, 여직원의 임신과 출산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새삼스러운 얘기도 아니고, 처음 듣는 이야기도 아니며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어왔는데도 말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76%나 된다는 덴마크, 아이를 돌보기 위해 당당히 휴가를 낸다는 프랑스 워킹맘 등의 선진국 사례가 해결책으로 느껴지기에는 현실의 고민이 또 얼마나 깊은지.

그래서 처음 이 문제가 ‘틀을 깨자’의 캐치프레이즈 아래 기사로 나왔을 때 여성 문제는 너무 뻔하지만 또 현실은 얼마나 느리게 개선되는지 다시 한 번 실감했다.

새삼스럽지도 않고, 수없이 많이 들었어도 인구의 절반인 여성이 기사의 첫머리만 보고도 백배 공감하는 상황이라면 앞으로도 계속, 거론하고 또 거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고 하니까. 태곳적부터 양성평등이 보장되었을 것 같은 노르웨이도 겨우 20년 전부터 그랬다고 하니까.
2015-07-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