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온라인 뉴스의 가치 높이기/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온라인 뉴스의 가치 높이기/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1-11-30 00:00
수정 2011-11-30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임종섭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기자가 새로이 만들어 내는 경제 가치는 거의 없다.” 미국의 매체경제학자인 로버트 피카드가 미국 언론의 현주소를 진단하며 던진 말이다. 더 나아가 기자가 경제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기자의 임금 수준은 낮아야 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도발적인 이 주장은 국내 온라인 뉴스시장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종이신문은 구독료와 광고비용으로 수익을 내지만 대부분 온라인신문은 구독료 없이 무료로 제공되며, 온라인신문의 광고단가는 종이신문보다 상당히 낮다. 이 상황에서 온라인신문은 수익을 내려고 기사 본문에 광고를 링크시키고 기사 화면에 자극적 상업 광고를 게재하고 있다. 이 현상은 보수, 진보 매체라는 정치 성향이나 편집방향과 상관없이 서울신문 홈페이지를 포함해 국내 온라인매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나마 나은 점은 서울신문의 온라인 기사 본문에 광고 링크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현장 기자들은 수익을 내려면 어쩔 수 없다고, 광고주는 광고한 언론사에만 줄 수 없어서 같은 광고들이 여러 매체에 게재된다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과연 온라인 기사가 창출하는 경제 가치는 무엇일까? 언론사들은 온라인 기사로 어떤 수익을 내고 있는가? 지금같이 기사 화면이 자극적인 광고의 게시판이 되는데 기사의 경제 가치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하겠다. 로버트 피카드는 전통 뉴스시장에서 기사의 경제 가치는 희소성을 바탕으로 유용한 정보 제공과 지역사회 소속감 증대, 의견 제시의 기회 제공으로 창출된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온라인 뉴스의 등장으로 이 희소성이 줄었다.

기자들이 경제 가치를 만들어 내려면 다른 매체에 없는 좋은 기사를 많이 생산해야 한다. 또 다양한 계층의 알 권리 충족과 함께 이들을 교육하는 일도 언론의 임무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은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20세기 사회·정치 철학자인 칼 포퍼는 사회 시스템을 한순간에 바꾸겠다는 시도는 무모하며 작은 것부터 하나씩 바꿔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를 언론에 적용하면 기사 제목과 기사 본문의 용어를 정확하게 해야 한다. 최근 영어 단어를 우리말로 소리 나는 대로 쓰는 모습이 학계와 TV토론, 대학생의 보고서, 온라인 글 등 사회 담론의 곳곳으로 퍼지고 있다. 영어 단어를 우리말로 적는 게 이해하기 쉬워 문제 될 게 없다는 인식이 깔렸다. 그렇다면, 굳이 우리말을 쓸 필요가 있을까? 표현의 정확성을 위해서라면 영어로 말하는 게 어떨지? 언론은 이 잘못된 관행에 제동을 걸어야지 이를 확대해서는 안 된다.

또한, ISD처럼 생소한 용어는 본래 표현을 제시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서울신문 홈페이지에서 ISD를 검색하면, ‘투자자국가소송제도’로 번역했을 뿐, 이를 설명한 기사를 찾기는 쉽지 않다. 언론의 교육기능은 여기서 발휘되어야 한다. ISD의 원래 표현(ISDS·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과 의미를 정리한 기사는 관심 있는 이들에게 좋은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뉴욕타임스 홈페이지는 작은 것으로 언론의 교육기능을 잘 살리고 있다. 온라인 기사를 읽다가 어려운 단어가 있으면 이 단어에 컴퓨터 마우스로 강조하면 물음표가 나타난다. 이 물음표는 해당 단어의 의미와 발음을 제시하는 별도 창으로 연결된다. 기사를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도 배우는 것이다. 영어가 익숙하지 않은 이민자와 교육수준이 낮은 미국인들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이 작은 노력이 보탬이 될 것이다.

언론고시 준비생들은 우리말 표현을 배우는 데 상당한 애를 먹는다. 평소에 이들 용어를 자주 접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온라인 기사는 빠르기와 접근성이 좋은 만큼, 온라인 기사에 순수 우리말과 정확한 어법을 뉴욕타임스 홈페이지처럼 별도 창으로 연결해 제공하면 어떨까? 독자들이 기사를 읽으면서 배우는 기회도 얻는다면 온라인 기사를 유료화해도 핵심 독자층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자, 작은 것부터 시작해 기사의 경제 가치를 높여 보자.

2011-11-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