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분야 석·박사 이상 고급인력 1만 6600명 부족
빅데이터는 융합데이터전문가 수요 확대 대비
고용부 정부 훈련사업 등에 반영 등 인력 양성 추진
서울신문DB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31일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개최한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에서 인공지능(AI)·클라우드·빅데이터·나노 등 4개 주요 신기술에 대한 인력수급 전망(2023~27년)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분야는 1만 2800명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면서 연구개발(R&D) 등 석·박사 이상의 고급인력 부족이 심각했다. 부족인력이 1만 6600명에 달했고, 국제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고급인력의 해외 유출 등에 따른 인력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클라우드분야는 서버·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 성장에 따라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전반에서 인력 수요가 늘면서 부족인력이 1만 8800명으로 분석됐다. 초급(전문학사 이하)·중급(학사 수준)이 8300명, 고급인력이 1만 500명이다.
인공지능(AI)·클라우드·빅데이터·나노 등 4개 주요 신기술에 대한 국내 기술 인력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분야 인력수급 전망(2023~27년) 결과. 고용노동부
나노분야는 단독 산업화가 어려워 인력 수요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디스플레이·에너지·환경·바이오헬스·소재 등 첨단분야 성장과 맞물려 응용·복합 기술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초·중급 5800명, 고급 2600명 등 총 8400명의 공급 부족이 예상됐다.
정부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첨단산업 디지털 핵심실무인재 양성훈련(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가 참여하는 ‘첨단산업 인재양성TF’를 통한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성호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인력 유출에 따른 구인난이 심각하고 자체 양성도 어려운 한계가 분명하다”면서 “기업 스스로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과 조직문화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