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건설·부동산 부실 심화
5대은행 부실채권 작년의 47%↑금융권 전체 건설업 대출액 116조
2금융권 연체율 등 9년 만에 최고
건전성 강화에 부실채권 더 늘 듯
14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 기업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금융권 전체 건설업 대출 잔액은 116조 2000억원, 부동산업은 500조 6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 보험사 및 여신전문금융사 등 비은행이 보유한 대출잔액은 각각 60조 7000억원, 191조 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두 업종의 대출 잔액은 한국은행이 업종별로 대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특히 2금융권의 대출 증가세가 가팔랐다. 지난 5년간 건설 및 부동산 업종에서 은행 대출 잔액이 각각 35.4%, 64.6% 증가하는 동안 2금융권에서는 무려 75.9%, 106.5% 급증했다.
문제는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계속되자 늘어난 대출만큼 부실 지표도 더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2금융권의 건설 및 부동산 업종 대출 연체율은 올해 1분기 각각 7.4%, 5.9%로 업종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3개월 이상 연체돼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역대급으로 치솟았다. 저축은행의 건설업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19.8%로, 지난해 1분기(4.4%) 이후 4.5배 급증했다. 부동산업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14.3%로 1년 새 3.3배 늘어났다.
최근 들어 연체율이 급등한 것은 관련 업황 부진으로 대출 연체액이 계속해서 누적된 탓도 있지만, 지난해 말부터 부동산 PF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면서 자산 건전성 분류 기준을 강화한 영향도 있다. 그동안은 대주단 협약을 통해 사업장 만기를 연장해 왔는데, 만기 연장이 까다로워지면서 앞으로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대출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에서도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늘면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상·매각한 부실채권 규모가 많이 늘어났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이 올해 상반기에 상·매각한 부실채권은 3조 2705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상반기(2조 2232억원)와 비교해 47%나 증가한 수치다. 은행은 고정이하 여신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하고 별도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되면 이를 ‘떼인 자산’으로 간주하고 장부에서 지워 버리거나(상각), 자산유동화전문회사에 헐값으로 매각해 부실을 털어낸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역별로 연체율 편차도 커서 부실이 확대되지 않도록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07-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