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금리 인하기’ 훈풍 기대?
숲 보지 않고 나무만 봐선 안 돼
이젠 예측 아닌 대응 필요한 때
2020년 코로나19 이후 주식시장 상승과 부동산의 불패 신화를 믿었던 지난 시간을 반성해 보는 의미에서 지난 3년을 되돌아보자. 유동성이 풀린 3년 이후 삶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앞으로도 주식시장은 무너질 리 없고 부동산 불패 신화는 여전한가.일본의 증권 투자전문가 우라가미 구니오는 주식시장에도 금융장세, 실적장세, 역금융장세, 역실적장세 이렇게 사계절이 있다고 봤다. 이른바 ‘사계절 이론’의 창시자인 그의 의견에 비춰 보면 2024년으로 가는 현시점은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는 역금융장세에서 금리가 점진적으로 내리는 역실적장세로 가기 직전의 과정에 있다. 역실적장세 과정에서 금리는 내리고 기업의 실적 또한 내려가며(경기침체) 주가는 하락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2024년은 주가 하락을 경험할 차례인가.
강세장세의 초기인 금융장세는 사계절에 비유하면 바로 봄이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2020년 3월 유동성이 공급되던 그때로 볼 수 있다. 아직 잔설이 남아 있는 추위 속에서도 매화 꽃봉오리가 한 송이씩 피어나듯이 금융완화라는 춘풍을 등에 업고 경기를 회복해 나갔다. 이윽고 한여름의 태양을 받아 강력한 실적장세가 전개됐다. 금융완화의 종말을 고하는 가을 풀벌레 소리에 금융긴축이 가까워졌다는 것을 알게 된 때는 지난해 초였다. 금리가 가파르게 올라가고, 주가는 가파르게 떨어지는 역금융장세가 초겨울날 먼 산에 지는 해와 같이 빠른 걸음으로 우리에게 찾아왔다.
이제 우리의 기대는 머지않은 시점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에 맞춰져 있다.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는 걸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며 금리 인하 결정은 향후 경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연방준비은행 총재의 의견은 언제까지 유효할까.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는 뜻의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은 봄이 왔으나 날씨가 아직 추울 때 쓰이는 말이기도 하지만, 좋은 시절이 왔지만 처한 상황이나 마음이 아직 추운 겨울 같을 때에도 쓰인다. 내년 상반기 경제가 이와 같지 않을까. 금리 인하라는 기대감으로 자산시장에도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금씩 퍼져 가는 지금은 예측이 아니라 대응이 필요한 때다. 숲은 보지 못한 채 나무만 보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KB국민은행 부산PB센터 PB
2023-12-21 21면